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본
대본
영화각본
콘티
영화 각본
scenario
영화
d라이브러리
"
시나리오
"(으)로 총 51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동해에 지진이 일어나면 어떻게 될까. 소방방재청 방재연구소가 작성한 가상지진해일
시나리오
에 따르면 일본 서해(우리나라의 동해)에서 규모 8.0의 지진이 날 경우 우리나라 동해안에는 1시간 반 만에 지진해일이 도착할 수 있다. 파고도 2~5m에 달해 상당한 피해가 예상된다. 보고서는 동해 ... ...
생명과학-생명은 어디에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지구상에 처음 생물이 출현한 이래 생물은 끊임없이 진화해왔다. 그 결과 오늘날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생물다양성과 관련해 생물의 3영역을 살펴보고, 원시 지구에서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시나리오
를 알아보자.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100μSv가 넘는 방사선량이 관측되면 대피 경보 방송을 실시한다. Tip - 일본 원전 최악의
시나리오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냉각수가 사라지고 뜨거운 핵연료봉의 온도를 낮추지 못하면 핵분열 반응에 쓰이는 핵연료가 녹게 된다. 이 상태에서 원자로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폭발이 일어나면 방사성 ... ...
성적이 계속 떨어져서 고민이라면?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예를 들어 청소년 연극제나 영화제에 참가하거나, 학교 연극부에서 연기나 연출,
시나리오
작성을 직접 해보는 경험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네 경우는 독서감상문을 제출할 때, 공부 대신 영화 관련된 책을 읽고 내면 좋겠지. 억지로 재미없는 책을 읽고 권장도서를 챙겨 읽을 필요가 없어. ... ...
바다 색깔로 태풍을 예측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8호
있는 플랑크톤의 양이 줄어들고 있다는 조사 결과를 활용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가상
시나리오
를 만들었어요. 그리고는 북태평양 아열대지역의 클로로필이 줄면서 점차 녹색 빛을 잃도록 설정하자,태풍 발생이 70%나 줄어들었답니다. 전세계 태풍의 절반 이상이 이 지역에서 생긴다는 것을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1천만년~1억년이 소요됐다. - 과학동아 1999년 6월호 ‘행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미완의
시나리오
, 미행성 성운설’ 물은 어디에서 왔을까 생명체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외부 물질로부터 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이 과정을 물질 대사라 한다. 물질대사를 위해 꼭 필요한 것이 액체 상태의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조사가 끝나자
시나리오
와 콘티작업에 들어갔다. 앞서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역사
시나리오
및 스토리보드를 제작하는 단계다. 백제 유적과 유물 중 가장 핵심적인 사항을 간추려 관객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절대로 지루해선 안됐다. 관객이 도시 내부를 가상현실을 통해 구경할 때 ... ...
‘바이러스’의 두 가지 정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전문가 클리닉] 주어진 문제를 잘 해결하기 위해서는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에 대한
시나리오
를 생각해야 합니다. 모든 영역이 이런 분석력을 요구하지만 특히 조합 영역의 문제는 가능한 모든 경우를 꼼꼼히 따져보며 중복과 누락이 없는지 충분히 생각합니다. 모든 경우를 다헤아리기 ... ...
앵무새의 정리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작품 소개작가인 드니 게디는 프랑스인으로 수학자이자 과학사학자며, 소설과
시나리오
등을 쓰고 있습니다. 영화감독으로 활동하고 있기도 합니다. ‘앵무새의 정리’는 오랫동안 연락이 없었던 친구에게서 갑자기 수많은 수학책을 받은 로슈 씨가 미스터리를 해결해 가는 과정과 수학의 역사가 ... ...
경험을 측정하는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만들어 갔다. 가장 먼저 한 일은 수집한 자료를 일종의
시나리오
형태로 만드는 일이었다. 이를 사용자 모형(user modelling)이라고 부른다. TV를 이용하는 수많은사람들의 행동 양상이나 요구는 제각각이므로 핵심적인 내용만 추려서 한두 쪽 분량의 문서로 만든다.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