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술
미술
art
d라이브러리
"
아트
"(으)로 총 24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와 예술가의 유쾌한 음모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발전하기 위해서는 만남을 위한 다양한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 현존하는 최고 미디어
아트
센터라고 할 수 있는 독일의 체트카엠(ZKM)의 경우 단순한 전시장 개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작가와 공학자, 미디어 전문가가 함께 작업하는 공방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하지만 만남의 형태로나, ... ...
예술과 과학의 화려한 만남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만들어낸다.우리나라에서도 예술의 전당을 비롯한 1000석 이상의 대형 공연장이나 성남
아트
센터를 비롯해 최근 개관한 공연장에서는 컴퓨터 제어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대표적인 작품이 ‘오페라의 유령’과 ‘레 미제라블’이다.'오페라의 유령’은 스케일 큰 무대장치로도 유명하다. 가스통 ... ...
미술로 풀어보는 수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이명옥 관장과 김흥규 박사가 최근 펴낸 ‘명화속 신기한 수학 이야기’(시공
아트
)는 미술사에 등장하는 국내외 명화 속에서 수학적 요소를 찾아내고 작품을 통해 수학을 얘기한다. 책은 독일 최고의 르네상스화가 뒤러 작품 ‘멜랑콜리아 1’과 단원 김홍도의 ‘씨름도’에서 공통적으로 마방진의 ... ...
“디자인은 기술을 안내하는 설명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일찍부터 독자적인 제품 디자인에 뛰어든 회사다. 한병혁 이사는 창업 초기부터 함께 한
아트
디렉터다. 보는 MP3플레이어인 한텔의 쿨키와 1998년 하나로텔레콤이 국내 최초로 선보인 화상전화기가 모두 그의 작품. 베테랑 디자이너인 그에게도 여전히 힘든 부분이 있다. 바로 처음 디자인을 계획하는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대학 근처에서 셋방을 구했는데, 우연히도 집주인이 에니메이션 제작사인 픽사의
아트
디렉터였던 것이다.당시 픽사는 물고기를 주인공으로 하는 시나리오를 막 승인했고 감독과 제작자는 다급하게 이 주제에 대해 더 많은 걸 알고 싶어했다. 서머스 박사는 집주인의 소개로 픽사 스튜디오에 갔다. ... ...
체험 과학 웹사이트 explortorium.edu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사이트에 가면 자신의 절대적인 반응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파인
아트
(Fine Arts) 궁전에 설치된 체험과학관은 과학, 예술, 인류 등 여러 분야와 관련된 6백50여개의 체험 시설을 갖춰 다양한 과학적인 현상을 재현하거나 직접 경험해볼 수 있다. 오프라인 체험과학관을 토대로 구성 ... ...
신경세포가 그리는 초상화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22개의 작품에 관람객이 2천명을 넘을 정도로 발전했습니다. 특히 MEART가 그린 초상화들은
아트
보트 전시회를 마치고나서 7월 17일 뉴욕의 또다른 갤러리에서 다시 전시됐을 정도였습니다.예전 우리 사회에서는 과학기술자나 예술가 모두 천대받는 직업이었습니다. 그러나 과학과 예술만큼인간의 ... ...
기후 변화 기록한 화가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없는 논의의 가치도 없는 주장이란 것이죠. 이 논쟁은 미국의 유명 미술 월간지인 ‘
아트
인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고 합니다.그런데 광학도구를 이용했다고 해서 거장들의 명성에 해가 가는 것일까요. ‘예술’(art)이라는 말은 기술을 말하는 그리스어인 ‘테크네’(thecne)를 ... ...
2. 히딩크호 세계 장벽 넘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지난 프랑스월드컵에서는 주최국 프랑스가 유럽의 힘과 남미의 기술을 겸비한 ‘
아트
축구’(art soccer)를 구사하며 우승했다. 이제 축구도 화려한 ‘예술’의 경지에 이른 것일까. 월드컵 개인기 의존 51% 축구에는 골을 넣기 위한 다양한 득점 유형이 있다. 어떤 팀의 득점 유형을 분석한다면 그 ... ...
한국 2001년 과학축제 쌍두마차 대한민국과학축전 ·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공간에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어서 쉽게 찾아가기가 힘들었다. 시도가 돋보였던 테크노
아트
전은 대부분의 관람객인 초·중·고등학생들이 호응하기 힘든 전시연출로 관람객들의 발길을 끄는데 난항을 겪는 모습이 보여 아쉬움을 더했다.과학축전의 생명력은 탄탄한 기획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