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엄지"(으)로 총 2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손목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이유 - 손목뼈과학동아 l2005년 02호
- 해부학코담배갑(anatomical snuffbox) 부위가 부어오르고 통증을 느끼게 된다. 손을 쫙 폈을 때 엄지손가락과 손목 사이에 생기는 고랑을 해부학코담배갑이라고 한다. 팔에서 손으로 가는 동맥이 2개가 있는데, 해부학코담배갑에서는 그 중 하나를 쉽게 만질 수 있다 ... ...
- 치명적인 약점이라고? 천만에! - 아킬레스건과학동아 l2005년 01호
- 많지 않다. 특이한 생김새나 쓰임새가 있는 힘줄에만 이름을 붙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손목관절을 굽히면 튀어나오는 힘줄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는 아래팔과 손바닥을 잇는 긴손바닥근의 힘줄인데, 손바닥에 넓게 퍼져서 판처럼 붙어있기 때문에 ... ...
- 그림을 훔친 범인은 누구인가어린이과학동아 l2004년 20호
- 손과 발의 모습이다. 발은 이미 발자국에서 본 것과 같았다. 손의 특징은 유난히 굵은 엄지손가락이다. 그리고 정원사가 말한 모습은 범인의 왼쪽 모습이다. 단서4의 정답머리카락의 길이는 길고 짧은 것이 그리 문제가 되지 않는다. 범인의 머리카락은 잘라져서 짧아질 수도 있는 것. 하지만 ...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과학동아 l2004년 12호
- 헤퍼 박사는 초음파검사를 통해 15주된 태아 1000명을 조사한 결과 10명 중 9명 꼴로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더 자주 빤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현재 오른손잡이 비율과 일치하는 수치다. 이들 중 75명에 대해 조사한 결과 오른손을 빠는 태아 60명 모두 태어난 뒤에도 오른손잡이가 됐고 왼손을 빠는 ... ...
- 만약 손가락이 없다면?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사람들은 손바닥을 펴고 엄지로 나머지 손가락의 마디를 짚어서 수를 세는데, 오른손의 엄지로 같은 손의 나머지 네 손가락의 마디를 모두 짚으면 12가 된다. 이 과정을 왼손의 다섯 손가락을 하나씩 꼽아가며 5번 반복하게 되면, 총 60(=5×12)이라는 숫자를 얻을 수 있다.이처럼 손은 수학의 발달에 ... ...
- 갯벌은 숨쉬어야 한다과학동아 l2004년 09호
- “게다가 이제는 관광지가 돼서 생활폐수도 들어오고 사람들 발길도 잦고….”갯벌은 엄지손톱만한 게들이 가끔 눈에 띨 뿐 조용하다. 자세히 보니 새끼손톱만한 고둥이 여기저기 보인다.“서해비단고둥입니다. 물에 씻어 자세히 보세요. 색깔이 예쁘죠.”윤 교수의 설명이다. 이 곳은 육지와 ... ...
- 1억원 있으면 우주 여행한다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이륙한지 90분만에 활주로에 안착한 멜빌은 수만명으로 불어난 관중 앞에서 힘차게 양손 엄지손가락을 내밀며성공을 자축했다.3분간 우주에 머물러고도 1백km는 지구 대기권이 끝나고 우주가 시작되는 지점이다. 우주경계점에 머무른 약 3분간 멜빌은 무중력상태를 경험했다. 이 짧은 순간동안 그는 ... ...
- 과학으로 승부한다 - '무어의 법칙' 을 추월한 괴력의 삼성전자과학동아 l2004년 06호
- 4기가비트 데이터저장(NAND)형 플래시 메모리 개발에 성공했다. 이 메모리 16개를 탑재하면 엄지손가락만한 8기가바이트(바이트=8비트) 메모리카드를 만들 수 있다. MP3 음악파일 2천곡 또는 영화 8시간 분량이 여기에 들어간다. 플래시 메모리카드는 디지털 카메라, USB메모리, 캠코더, 녹음기, MP ...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04년 04호
- 마주보기가 불가능하다 엄지 아래에 있는 두틈한 근육인 '엄지맞섬근' 때문에 사람의 엄지는 강한 힘을 내며 크게 회전할 수 있다운동성을 갖는 단세포 미생물의 일종으로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아디아와 같은 기생성 원생동물은 수인성 전염병의 원인이 된다물이 흐린 정도를 나타내는 탁도의 단위 ... ...
- 눈먼 두더지 길잡이는 지구 자기장과학동아 l2004년 02호
- 시력이 거의 상실돼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깜깜한 땅속을 헤쳐 엄지공주를 찾을 수 있을까. 궁하면 통한다고 두더지에게는 지구 자기장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이스라엘 텔아비브대 탈리 킴치 박사와 스위스 제네바대 조셉 테켈 박사는 눈먼 두더지(Spalax ehrenbergi) 암컷이 집을 찾아갈 때나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