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적
사료
d라이브러리
"
역사소설
"(으)로 총 34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한쪽 극에는 문학적 지식인이 그리고 다른 한쪽 극에는 과학자, 특히 그 대표로 물리학자가 있다. 이 둘 사이는 몰이해, 때로는 적의와 혐오로 틈이 크게 갈라지고 있다. 더욱이 도무지 서로를 이해하려 들지 않는다.”1959년 물리학자이자 소설가인 스노우는 과학과 인문학 사이의 의사소통 단절 ... ...
범인 신원 밝히는 결정적 단서 DNA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덜렁이 고등학생 김전일은 공부도 잘 못하고 운동에도 소질이 없다. 하지만 소문난 명탐정 긴다이치 코우스케의 손자답게 추리력만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김전일과 그의 여자친구 미유끼는 매번 우연한 기회에 살인사건에 휘말리는데, 김전일이 그 사건을 해결한다. 김전일이 겪는 살인사건에 ... ...
로켓 원리 밝힌 치올코프스키 논문 1백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지금으로부터 1백년 전인 1903년은 지구 생명체에겐 족쇄와도 같은 중력을 이기려는 힘겨운 노력이 있었던 해다. 12월 미국에서 라이트 형제가 세계최초의 역사적인 동력비행을 시도했으며, 그보다 일곱달 전인 5월 지구의 반대편 옛소련에서는 콘스탄틴 에두아르도비치 치올코프스키(Konstantin ... ...
씨없는 수박의 개발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우리는 한국과학사를 잘 모른다. 가장 큰 요인은 이해와 관심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국외국어대 사학과의 박성래 교수는 한국과학사를 다룬 저서에 ‘한국사에도 과학이 있는가’라는 제목을 달았다. 그만큼 우리들 사이에는 한국과학기술을 무시하고 비하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에는 세계과학 ... ...
김정호의 옥사 이야기는 일제의 조작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국립서울과학관에 마련된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가면 과학선현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접할 수 있다.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문화재단이 마련한 이 전당에서는 최무선 장영실 이천 이순지 허준 홍대용 김정호 우장춘 이원철 이태규 안동혁 현신규 최형섭 이호왕 등 14명의 생애와 업적이 소 ... ...
정전기 이용해 글씨 자국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백만장자와 똑같이 서명할 수 있다면 백만장자처럼 행세할 수 있을까. 미국의 여성 추리소설 작가 패트리샤 하이스미스(Patricia Highsmith, 1921-1995)의 소설 ‘리플리’(The Talented Mr. Ripley)는 그것이 가능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이야기다. 백만장자의 아들을 죽이고 그의 행세를 하다가 비극적인 종말을 ... ...
5백년만에 드러난 숨겨진 화가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유물의 복원 과정에서 무언가가 새로 발견될 때마다 사람들은 늘 잊혀진 역사가 성큼 다가서는 신선한 느낌을 받습니다. 미켈란젤로가 바디칸궁전의 시스티나성당 천장에 그린 ‘천지창조’가 복원작업을 마치고 1994년 일반에 공개됐을 때도 사람들은 뭔가 새로운 것이 발견되지 않았을까 기대했 ... ...
과학 입고 싸운다 군복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전투를 위한 옷인 군복은 과학기술이 동원되는 가장 실용적인 복장이다. 나폴레옹군에서부터 나치 친위대와 미국 해병대의 군복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있을까. 국군의 날로 시작되는 10월을 맞이해 다양한 군복의 세계를 알아보자.얼핏 보면 간단한 것 같지만 군복 한벌에도 인류의 지혜와 역사가 ... ...
연극 무대 위로 올라간 과학자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내가 최초로 발견했습니다.” “발표는 내가 최초입니다.” “최초로 이해한 건 나입니다.” 지난 8월 11일 포항 문예회관 대강당 무대에서는 하나의 역사적 사실을 두고 세명의 남자가 다투고 있었다. 이 남자들이 다투고 있는 것은 산소 발견의 우선권. 바로 ‘산소’라는 연극의 한 장면이다.극 ... ...
3.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남긴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성과가 발표됐지만 지금까지도 유전자를 예측하는 가장 기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분석된 유전자 정보를 질환 치료와 같이 실질적인 인간 생활에 적용하려는 연구도 그리 성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포스트 게놈시대에 생명과학자가 풀어야할 남겨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