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콤달콤 연구소의 비법노트]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입체도형 색칠하고 돌리고 펼치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보세요. 스크롤바를 왼쪽으로 움직이면 입체도형이 조금씩 펼쳐지면서 전개도가 돼요.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전개도가 다시 입체도형이 되지요. 5. 밑면과 옆면을 다른 색깔로 정해 모양, 개수 등 특징을 비교해 보세요. 목록 탭에서 ‘정다면체’를 클릭한 뒤 정육면체, 정팔면체 등 각기둥 외에도 ... ...
- [매스미디어]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하이라이트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중요한 장면에서도 수학이 보인다! 샹치 뒷 배경(오른쪽 하단 그림)으로 보이는 울긋불긋한 존재는 얼핏 솔방울을 닮았다. 여기서 피보나치 수열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수열은 자연에서 쉽게 볼 수 있다. 피보나치 수란 1, 1, 로 시작하며 바로 앞의 두 수를 더한 ... ...
- 한글꼴 · 로마자꼴을 해부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F K T V Y’ 등에서 나타난다. 끝이 한쪽이라도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평으로 뻗거나 오른쪽 위로 상승하는 획을 가리킨다.❹ 줄기(stem): 한글의 기둥에 해당하며 대개 글자 내에서 가장 굵다. 특히 세리프체에서는 다른 획과의 굵기 차이가 두드러진다.❺ 세리프(serif): 획의 시작과 끝 부분에 ...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몰입도를 높이는 절차적 콘텐츠 생성법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방법으로는 펜 굵기를 타일 폭과 같게 해 세로 방향으로 선을 그려서 세로 지형을 만들고 오른쪽으로 타일 폭만큼 계속 이동하면서 전체 지형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위 박스 속 QR 코드를 스캔하면 스크래치 코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스크래치 코드에는 펜 굵기를 변경해 지형을 생성하는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쓰레기에 낚인 괭이갈매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안락사를 결정했다. 너구리 역시 결말이 좋지 않았다. 발견했을 때 낚싯줄에 엉킨 오른쪽 다리는 이미 절단된 상태였다. 전신에는 구더기가 들끓고 있었다. 구조센터에서도 전혀 상태가 호전되지 않았고 치료 중에 폐사했다.무분별하게 버린 낚싯줄 하나가 숱한 생명을 끊어낸다. 낚싯줄은 굉장히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2] 포물선을 아름답게! 축구공 골인 게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아래로 떨어질 수 있도록 블록을 수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서율 독자님은 오른쪽 화면처럼 매번 게임을 실행할 때마다 단어 순서가 바뀌며 나오도록 게임을 만들고, 각 단어가 내려오는 속도도 서로 다르게 만들어 게임이 더욱 짜릿했답니다 ... ...
- [특집] 수학의 신이 꼽은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숫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삼각수’, 사면체 모양으로 배치했을 때의 총 개수를 ‘사면체수’라고 불렀어. 오른쪽 그림처럼 1, 3, 6, 10 등이 삼각수지. 삼각수는 자연수를 차례로 더했을 때 나오는 합으로 삼각형 모양이 만들어지는 재미난 성질이 있어. 게다가 10은 10보다 작은 삼각수 1, 3, 6으로 각 층이 이뤄진 ... ...
-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1994년부터 외화 자막의 70~80%를 담당하고 있는 태-영화체다. 손글씨를 썼을 때처럼 글자의 오른쪽 윗부분이 약간 올라가 있고 획의 끝 부분이 둥글게 뭉쳐있다. 태-영화체를 개발한 태시스템의 김태정 대표를 9월 3일 서울 종로구의 공방에서 만났다.“태-영화체가 등장하기 전에는 필경사가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0화. 해롱 선장이 페가수스 선장을 싫어하는 진짜 이유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계속 떠오르는 거야. 그때부터 발가락에 신경이 쓰여서 견딜 수가 없었지.‘내가 정말 오른쪽 발가락을 꼼지락거리나? 아니, 왼쪽이랬나? 잠깐만, 무슨 기술을 걸 때 그런다고?’머리가 복잡해진 해롱 선장은 다리를 제대로 움직일 수 없었어. 결국 연이어 두 판을 다 지고 말았고, 우승은 페가수스 ... ...
- 제보 분석 │ UFO 비행 특성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파란색 발광. 일정 시간 체공 뒤 이동(가운데) 불규칙한 이동 패턴. 이동에 따라 색 변화.(오른쪽) 빠른 비행으로 전환 뒤 시야에서 사라짐. 한국UFO조사분석센터의 잠정 결론해당 비행물체는 UFO에서 보이는 특징적인 발광 현상이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현상으로 야간에는 거리와 거의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