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행"(으)로 총 1,193건 검색되었습니다.
- Chapter 01. 대유행┃ 최근 50년간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 7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프랑스의 시인 기욤 아폴리네르는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포탄의 파편을 맞고 큰 수술을 받았지만, 다행히 건강을 되찾고 있었다. 그러던 그가 종전을 이틀 앞두고 사망했다. 사인은 독감이었다. ‘스페인독감’으로 알려진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원인이었다. 스페인독감은 1918년 발병해 이 ... ...
- 2012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사스와는 다른 ‘중동의 사스’ 메르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있으며, 85% 이상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연관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2년 메르스 대유행으로 전 세계적으로 2494명이 감염됐고, 858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했다(2019년 11월 기준). 국내에서도 2015년 5월 바레인에서 메르스에 감염된 한국인이 귀국하면서 퍼지기 시작했다. 6월에는 최초 감염자와 ... ...
- 코로나19 팩트체크┃마늘 먹으면 예방 효과 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과학적 근거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2009년 신종플루와 2012년 메르스 등 새로운 감염병이 유행할 때마다 마늘과 바이러스 예방의 상관관계는 꾸준히 거론됐다. 코로나19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WHO)는 “마늘은 향균 효과가 있는 좋은 음식”이라면서도 “마늘이 사스코로나바이러스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1000명의 혈액을 얻어 집단면역률을 조사할 계획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전국적인 대유행이 없었고 비교적 강도 높게 확진자와 감염의심자에 대한 격리가 시행됐기 때문에 항체 형성률이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람의 몸은 일정 변수까지는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바이러스에 대한 ...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돌연변이를 일으키고, 이 과정에서 항원 부위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매년 유행하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그나마 항원 부위의 변화가 조금씩 천천히 일어난 결과다. 이를 항원소변이라고 한다. 이와 달리 2009년 발생한 신종플루는 돼지에 감염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항원대변이를 통해 ...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생기지 않는다는 한계에 봉착해있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유행하면서 만능 백신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오늘날 개발되는 코로나19 백신은 대부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가 사람 세포에 결합해 유전체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백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연구를 진행했지만, 2004년 7월 WHO가 사스의 대유행 중단을 선언한 이후 지금까지도 효과적인 치료제와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다 ...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피부발진과 내출혈 증상이 동반된다. 내출혈 증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에볼라 출혈열 유행병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렸다.에볼라바이러스는 숙주세포 표면 수용체에 바이러스의 당단백질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숙주세포 속으로 침투한다. 이때 감염된 세포는 출혈을 일으키며 혈관에서 떨어져 나오고, ... ...
- 코로나19 팩트체크┃덥고 습하면 전파력 떨어진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변성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2002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도 겨울에 유행이 시작해 이듬해 7월, 온도가 높은 여름을 기점으로 소멸했다. 그런데 코로나19는 다르다. 현재까지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기후 조건에 상관없이 증식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5도 ...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존 프랭클린 엔더스와 토머스 허클 웰러 그리고 프레더릭 채프먼 로빈스 박사는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을 일으키는 멈프스바이러스를 연구하고 있었다. 그들은 닭의 양막(배아를 덮고 있는 막) 조각을 떼어 낸 뒤 식염수를 공급해 세포를 배양했다. 이는 19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프랑스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