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구"(으)로 총 1,4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미래 직업, 삶이 맘에 안 들면 농부가 돼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국제연합(UN)은 2050년 세계 인구가 97억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어요. 이처럼 인구는 폭발적으로 늘지만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옥수수와 밀 등 주요 식량을 생 산하는 건 점점 어려워지고 있어요. 2017년 미국과학원 회보는 논문 70여 편을 분석해 지금과 같은 속도로 지 구온난화가 계속되면 2 ... ...
- 내가 독도에 갈 확률은 얼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이 사람이 서울에 살고 있다고 믿는 게 나을 거라고 주장했어요. 서울과 해남의 전체 인구는 약 1010만 명이고, 이중 서울에 사는 사람이 1000만명이니, 서울에 살 확률이 약 1010만 분의 1000만이 되니까요. 해남에 살 확률보다 훨씬 높지요.이는 엉뚱발랄 생각실험실의 질문에도 적용할 수 있어요. ... ...
- 달나라 여행 떠나는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물을 채취할 필요 없이 늘 같은 양의 물이 아르테미스 안에서만 활용되지요. 만약 인구가 증가해 더 많은 물이 필요하다면, 지구에서 수소만 가져와서 달의 산소와 반응시키면 돼요. 아르테미스 경제 원리에 따르면, 1000달러로 지구에서 약 6kg의 수소를 가져올 수 있고, 산소와 반응시키면 약 54L의 ... ...
- 난민 신청자가 급증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9942명이 됐지요. 정부는 올해 난민 신청자 수가 1만 8천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어요.인구가 우리나라 절반에 불과한 예멘은 3년째 계속된 전쟁으로 300만 명이 피란민이 됐어요. 이중 270만 명은 예멘을 떠돌고 나머지는 대부분 에티오피아 등 가까운 국가로 갔어요. 단 500여 명이 말레이시아에 ... ...
- 점점 늘어나는 난민, 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유엔난민기구가 수를 파악하기 시작한 이래 가장 큰 수치예요. 이제 난민 수는 우리나라 인구 절반에 달하는 2540만 명이랍니다. 2015년, 핀란드 데이터 전문가 빌레 사리넨은 엄청난 난민 수에 비해 사람들이 심각성을 못 느낀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북아프리카와 중동에서 유럽으로 가는 난민을 ... ...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곳은 러시아에 있는 사하공화국의 ‘오이먀콘’이다. 영구동토층에 자리한 이곳에는 인구 800명 정도가 살고 있다. 오이먀콘의 12~2월 평균 기온은 영하 50도를 밑돈다. 1933년 2월 6일 영하 67.7도를 기록해 남극을 제외하고 인간이 사는 곳 중 가장 낮은 기온으로 기네스북에 기록됐다. 국내에서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2] 자원과 지속가능한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문제도 있다. 바로 자원이 고갈되고 있다는 것이다. 화석연료는 매장량이 한정돼있는데, 인구 증가와 산업 발달로 자원 소비량은 급증하면서 자원의 고갈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 이는 에너지 부족 문제를 발생시켜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진다. 자원 소비량의 지역 간 격차도 심각하다. 현재 선진국 ...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세계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2016년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인구는 현재 74억 명에서 2050년 97억 명으로 증가하고, 아울러 연간 육류 소비량도 지금보다 70% 이상 늘 것으로 예상된다. 육류 소비량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가축 수를 늘려야 하고, 가축에게 먹일 사료를 재배하기 ... ...
- 공부 잘하는 약 ‘스마트 드럭’의 유혹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글로벌신경과학계획재단(GNIF)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뇌와 행동’ 2012년 9월호에 “많은 인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기억개선 효과가 작거나 플라세보(위약) 효과인 경우가 많았다”고 발표했다. doi: 10.1002/brb3.782013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의 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건강한 성인 4 ... ...
-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한국 경제는 불황? 호황?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높은 이유다. 홍춘욱1993년 12월부터 이코노미스트로 일하고 있으며, ‘환율의 미래’ ‘인구와 투자의 미래’ 등 다양한 책을 통해 경제 지식을 쉽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이며, 블로그(blog.naver.com/hong8706)를 통해 독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다. hong8706@naver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