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골
등뼈
척수골
척추
척추골
등골뼈
골수
d라이브러리
"
척수
"(으)로 총 237건 검색되었습니다.
변비 왜 여자에게 잘 걸릴까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배변이 쉽게 이뤄질리 없다. 사춘기에 치명적 상처 주기도누구나 직장에 변이 고이면
척수
에 신호가 보내지고 그것이 뇌에 전달되면서 변의가 느껴진다. 신호를 받은 뇌의 명령에 따라 배에 힘이 주어지고 장이 움직이면서 배변은 시작된다. 그런데 스트레스를 잔뜩 받은 상태에서는 자율신경 또한 ... ...
과학계의 팔방미인 '옐로우칼'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옷을 입은 칼 세이건)이라고 불렀다.그러나 이젠 옐로우 칼을 볼 수가 없다. 1994년 그는
척수
형성부전이란 병으로 두번이나 죽음의 고비를 넘겼다. 한때 그의 누이로부터 골수를 이식받아 병세가 호전되기도 했지만, 지난해 갑자기 폐렴이 겹치면서 병세가 악화돼 2년 동안의 투병 생활은 헛되이 ... ...
재활용 개인 우주선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통증이 있을 때나 운동 신경을 손상시키지 않고 선택적으로 응고시킬 때 사용된다
척수
의 뒷면을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방법 작용 메커니즘은 분명치 않지만 통증전달경로를 혼란하게 만들고 교감신경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보통 시험적으로 1주 간 시행해 환자가 만족스러워 하면 영구적 ... ...
적외선 탐지기로 질병추적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많은 도움을 준다.척추병은 단지 디스크에 한정되지 않는다.
척수
에 종양이 생기거나,
척수
가운데 물주머니가 길게 생긴 경우, 그리고 골수에 염증이 생긴 경우 등 다양한 질병이 발견되고 있다. 이때 환자의 신경학적 변화나 병의 중증 여부, 그리고 치료의 효과를 측정하는데 체열촬영이 유용하다 ... ...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교아세포(膠芽細胞, sporgioblast)가 다시 여러 형태로 분화 · 성장한 것뇌실(腦室)이나
척수
중심관(脊髓中心管)의 벽을 덮고 원주상 또는 입방형이며 초기에는 유리면(遊離面)에 섬모가 있다 미생물 및 고등식물에서 아세트산을 탄소원(炭素源) ·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때 사용되는 대사경로(代謝經路) ... ...
'뚱뚱한 미국' 불가피한 선택 비만 치료제 정식 인정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제까지 알려진 것만 10여가지가 된다.사람의 대뇌와
척수
사이에는 시상하부라는 것이 있다. 이곳에는 식사를 하고 난 다음 배부른 느낌을 갖게 하고 식욕을 조절하는 포만 중추가 있는데, 이 포만 중추에 세로토닌이 관계한다. 사람이 탄수화물을 섭취하면 ... ...
2. 몸 곳곳을 누비는 통증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생활에서 피부의 손상이 장기 손상보다 월등이 많다. 따라서 장기로부터 통증 정보가
척수
의 투사신경을 흥분시킬 때 대뇌는 피부가 손상된 것으로 해석한다. 장기에서 자극된 통증 신경은 운동신경에도 흥분을 전달하기 때문에 반사적으로 운동신경이 지배하는 근육을 수축시킨다. 예를들어 ... ...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몸 이상 알리는 적신호 위험 경고하는 통각신경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신경섬유에 의해 전달되는 통증을 억제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즉 굵은 신경섬유는
척수
교양질 내에 있는 문을 닫아 통각정보를 차단하며, 가는 신경섬유는 거꾸로 문을 열어 통각정보가 뇌에 도달하도록 한다. 결국 통증의 크기는 문을 여닫는 가느다란 신경섬유와 굵은 신경섬유 활동의 균형에 ... ...
3. 통증을 정복한다 : 통증 극복하는 하이테크 의술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있을 때나 운동 신경을 손상시키지 않고 선택적으로 응고시킬 때 사용된다.
척수
자극기
척수
의 뒷면을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방법. 작용메커니즘은 분명치 않지만 통증전달경로를 혼란하게 만들고 교감신경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보통 시험적으로 1주간 시행해 환자가 만족스러워 하면 영구적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뇌 전체로 볼 때 약 90% 부위에만 존재한다. 즉 뇌하수체와 시상하부의 내융기부위나 뇌
척수
액이 통과하는 부위에는 이 장벽이 없다. 그래서 주변 혈관을 통과하던 약물이나 이물질은 이 부위에 쉽게 침입해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둘째 이 장벽을 쉽게 통과하는 물질이 있다. 우선 알코올은 지용성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