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첫째"(으)로 총 1,4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모습이나 그가 과학자로서 걸어온 여정은 행동유전학 연구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첫째, 초파리 행동유전학자들은 벤저의 “먹어봐야 안다”라는 말처럼 이론이나 사변보다 실험으로 볼 수 있는 과학을 좋아한다. 둘째, 벤저는 물리학자에서 분자생물학을 거쳐 행동유전학으로 끊임없이 ...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주장과 아니라는 주장의 이야기를 한 번 들어볼 필요가 있겠구려.철갑선이 아니다!첫째, 철을 덮었다는 문헌적 증거가 없다.이순신의 조카인 이분(李芬)이 쓴 이순신 전기에서 거북선에 대한 설명이 나와요. ‘(중략) … 크기는 판옥선과 같으며 상부는 목판으로 덮었는데 판상(板上)에는 십자형 … ...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및 개발이 이루어져 왔음을 의미한다. 직접교차분화 기술도 연구할 점이 무궁무진하다. 첫째로 좀 더 다양한 세포로 리프로그래밍을 하는 것이다. 둘째로 직접교차분화의 기전을 연구해 전환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셋째는 몸 안에서 직접교차분화를 유도하는 것, 넷째는 몸에 있는 ... ...
-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수학동아 l2014년 07호
- 교수는 범죄 현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던 중 두 가지 흥미로운 특징을 발견했다. 첫째는 범죄가 발생하는 패턴이 마치 전염병이 퍼져나가는 것과 같다는 점이다. 그리고 다른 한 가지는 서로 다른 범죄조직이 충돌하는 경우, 한 번의 충돌이 연쇄적인 보복 행동을 불러오면서 특정 지역에 ... ...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보내야 할 것이므로.브라질 월드컵은 역사상 두 번째로 큰 나라에서 열리 는 월드컵이다(첫째는 1994년 미국). 브라질은 세계에 서 다섯 번째로 큰 나라로, 면적이 남한의 85배다. 기후 도 지역마다 천차만별이다. 더구나 경기장과 베이스캠 프를 골고루 흩뿌려 놓았다. 덕분에 선수들은 대통령이 ... ...
- 선택 2014, 무한도시 시장을 뽑아라!수학동아 l2014년 06호
- ‘표본’이라고 하는데, 이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첫째는 확률추출법으로, 모든 유권자 중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기 때문에 ‘임의 추출법’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정확도는 높지만, 이번 선거와 같이 규모가 큰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 ...
- 우주 급팽창 첫 증거 발견, 그 이후 - 초끈이론이 흔들린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완전히 맞다고 전제했지만, 학계에서는 현재 엄밀히 확인 중인 가능성이 두 가지 있다. 첫째, 바이셉2가 보여준 실험치를 해석하는 과정의 문제점이다. 앞서 말했듯이 기존 모델들과 바이셉2의 다른 점은 r값이 너무 크다는 데 있다. 이는 바이셉2의 데이터에서 실험적 오차를 줄이는 방법 때문에 생긴 ... ...
- 황우석 대 오보카타 하루코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과학적 사기’, 오보카타 사건은 ‘정상적인 과학적 검증’이라고 생각한다.첫째, 황우석 사건은 과학적 검증보다 다른 이유들이 더 논란이 됐다. ‘사이언스’지에 실린 황우석의 2004년 논문에 대한 과학자들의 조직적인 문제제기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대신 내부고발자 류영준의 제보로 ... ...
- [만화뉴스] 자존감이 낮은 학생에게 과도한 칭찬은 금물!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심리학 박사인 에디 브럼멜맨 교수 합동 연구팀은 크게 2가지의 실험을 진행했다. 첫째는 부모의 칭찬의 정도와 학생의 자존감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브럼멜맨 교수는 자존감의 정도를 미리 측정한 114명의 학생들에게 12번에 걸쳐 수학문제를 풀도록 했다. 이후 연구팀은 부모가 ... ...
- [포토뉴스] 핵폭탄 폭발, 수학으로 알아본 대처법은?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상태나 폭발 패턴 등을 추가로 분석해 대입한 결과, 크게 두 가지의 경우로 나타났다.첫째는 즉시 안전한 대피소로 이동하는 경우이다. 외부에 있거나 현재 거주지의 상태가 좋지 않을 때 적절한 대피소가 5분 거리에 있다면 즉시 이동하는 것이 적절하다. 하지만 대피소가 15분 정도 떨어져 있을 때는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