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대"(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상] 수리물리학의 살아있는 전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주어진 정보량보다 크지 않다는 증명으로, 데이터 통신에서 전달할 수 있는 정보량의 최대치를 증명한 식입니다. 권혁준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는 “리브 교수가 증명한 식은 데이터 통신, 양자 컴퓨터 등에서 양자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쓰이지 않는 곳이 없다”고 전했어요. 리브 교수의 ... ...
- [화보] 달리고 뿌리면 자란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이내 불씨가 되살아났고, 총 1944ha(헥타르)를 태우고 난 뒤에서야 멈췄다. 2010년 이후 최대 규모의 산불이었다.2년이 지난 6월 18일, 산불이 난 지역을 다시 찾았다. 언뜻 푸른 산처럼 보였지만 곳곳에 죽은 나무가 눈에 띄었다. 대부분의 나무들은 밑둥이 검게 불탔고, 산봉우리 뒤쪽으로는 ... ...
- 소수의 비밀에 다가가는 연구로 성과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그리고 올해 2022 필즈상을 거머쥐었습니다. 여러 업적 중 저는 ‘연속한 두 소수의 최대 차 문제’에 대해 먼저 소개하려 합니다. 이 문제는 헝가리 수학자 에르되시 팔이 10,000달러의 상금을 걸기도 한 문제입니다. 소수의 분포를 근삿값으로 구하는 정리인 ‘소수정리’에 의하면 1보다 큰 x에 ...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열리는 노벨상과 달리 필즈상은 4년에 한 번씩 수여할 뿐만 아니라 공동 수상자의 인원도 최대 4명으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특히나 수상자 나이에 제한이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만 40세가 넘으면 아무리 뛰어난 수학자라도 필즈상을 받을 수 없다. 나이 제한은 국제적 수학상이 장래에도 계속 좋은 ... ...
- [어덕행덕] 개미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알면 사랑한다’의 매니저, 숲곰개미네이버 카페 ‘‘개미’ 알면 사랑한다’는 국내 최대 개미 사육 커뮤니티로 꼽힙니다. 7월 12일 기준 회원 수 1만 9330명, 전체 글 8만 4181개를 자랑합니다. 개미 무료분양, 개미 사육 정보 공유 등 소통도 활발합니다.7월 8일 오후, 이 카페의 운영을 맡은 매니저 ... ...
- [필즈상 인터뷰 ➌] 제임스 메이나드 교수 “모든 큰 돌파구는 그 문제를 오랫동안 고민한 후에 나와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정수론의 오랜 문제들과 관련이 있어요. 쌍둥이 소수 추측은 약 173년, 연속한 두 소수의 최대 차 문제는 약 25년, 듀핀-쉐퍼의 추측은 약 81년 된 문제예요. 오래된 문제만 골라 푸는 건 아니지만, 이런 문제들은 제가 연구하고 싶은 욕구를 자극해요. 다른 수학자들이 이미 진전시킨 아이디어들이 있어 ... ...
- [이달의 식물사연] 열대 숲 속의 샹들리에 산호히비스커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꽃잎이 갈라져 있다는 뜻이다. 진짜 디테일은 꽃잎 아래로 길게 늘어뜨린 꽃술대에 있다. 최대 10cm에 이르는 꽃술대는 꽃잎보다도 훨씬 더 길게 자라나 있다. 중간 부분에 노란 수술들이 저마다 꽃가루를 머금은 채 다닥다닥 자리하고 있고 맨 밑에는 다섯 갈래로 갈라진 새빨간 암술머리가 화려한 ... ...
- 미개방 동굴에서 박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살포해야 한다. 지난 5월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흰코 증후군으로 2017년 미국 농경에서만 최대 4억 9500만 달러(약 6300억 원)의 경제적 손해가 발생했다. doi: 10.1086/720303 동굴 환경이 박쥐에 영향을 끼치고 인간의 사회적, 경제적 활동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둘째 날 제주도의 미개방 용암동굴인 ... ...
- 우주 공장에서 만드는 물방울 렌즈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절반 수준이다.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발사에 쓰인 아리안5 로켓은 지구 저궤도에 최대 20t, 지구 정지궤도까지는 10t의 적재량을 운반할 수 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성공적으로 우주에서 눈을 뜬 것은 소재의 발전 덕이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주경을 네번째로 가벼운 원소인 베릴륨으로 ... ...
- [융복합@파트너] 친환경 데이터센터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감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엔맵은 기존 리눅스에서 제공하는 전력 관리 기술에 비해 최대 35.7% 전력을 절감했다. doi: 10.1145/3466752.3480098한편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의 전력 소비를 줄이는 방법도 있다. 김 교수는 “데이터센터 서버의 평균 메모리 사용량은 40~60%로 절반은 사용되지 않는다”고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