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 극장] 아인슈타인은 상대성 이론으로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역할은 여기까지가 끝! 미국에서 원자폭탄 개발을 위한 맨해튼 프로젝트가 시작돼 최초의 원폭으로 이어졌지만 아인슈타인은 여기에 참여한 적이 없다. 그는 미국 연방수사국 FBI가 감시하던 요주의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민족주의와 인종주의에 반대하는 아인슈타인을 FBI는 공산주의자가 아닌지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줄기세포로 장기를 조립하다,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뿐만 아니라, 체내 조직의 구조까지도 비슷하게 재현했습니다. 클레버스 교수팀은 이 최초의 미니 장기에 기관(organ)을 닮았다(-oid)는 뜻의 ‘오가노이드(organoid)’ 라는 이름을 붙입니다.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로 만듭니다. 줄기세포 안에는 우리 몸속 조직들에 대한 설계도가 내재돼있고, 세포는 ... ...
- [특집] AI와 일하는 만화작가 만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2023년 2월 업데이트 예정인 투닝은 그림을 못 그리는 사람도 글만으로 이미지를 만드는 최초의 한국어판 그림 생성 AI가 될 거예요. 지금은 웹툰 한 컷만 제작해 주지만, 향후엔 캐릭터를 고정시켜 연재물이 가능하게 발전시키고 싶어요 ... ...
- [특집] 중이온 가속기, 1년 만에 터진 라온의 첫 축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IF’도 활용하기 때문이다. ISOL과 IF 두 가지를 모두 적용한 연구시설은 라온이 세계 최초다. IF는 수박을 조약돌에 던지는 방식을 택한다. 우라늄 등 질량이 무거운 원자를 가속해 탄소처럼 상대적으로 가벼운 원자에 충돌시킨다. 신 부장은 “무거운 원자가 쪼개지면서 날아오던 속도 그대로 ... ...
- 이휘소는 원자폭탄 개발에 관여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이름을 따라 다니는 키워드는 ‘노벨상’이다. 그러면 이휘소의 이미지는 ‘한국인 최초로 노벨상을 받을 수 있었지만 일찍 세상을 뜨는 바람에 기회가 오지 않은 과학자’ 정도로 조금은 구체화된다. 이휘소가 노벨상에 근접한 과학자였던 것은 분명하다. 그의 연구주제였던 ‘게이지 이론의 ... ...
- 물속 생활 즐긴 공룡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잔잔한 호수를 떠다니던 동물이 깃털을 다듬다 갑자기 날쌘 몸짓으로 물속으로 사라진다. 한참 만에 밖으로 나온 동물의 입에는 은빛으로 반짝이는 물고기가 물려 있다. 물새냐고? 국내 연구진이 최근 발견한 반수생(半水生) 공룡, ‘나토베나토르 폴리돈투스(Natovenator polydontus)’다. 이융남 서울 ... ...
- [과학 뉴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다누리가 지구와 달 사진을 찰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지구와 달 사진을 공개했어요. 다누리는 작년 8월 5일 달 탐사를 목표로 발사된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 탐사선입니다. 달 착륙선 착륙 후보지 탐사와 달의 자기장 측정 등을 수행할 예정이지요. 3일 항우연이 공개한 사진은 총 4장입니다. 각각 작년 12월 24일, 28일, 31일 그리고 올해 1월 1일에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심장, 신경관, 체절 태아의 분화를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그리고 무한대로 쪼개져 아무리 숫자가 많아지더라도 각각의 세포가 가진 유전자 세트는 최초의 수정란에서 시작된 것과 동일합니다. 그렇다면 각기 다른 모양으로 다양한 기능을 하는 세포들은 대체 어떻게 만들어진 걸까요? 배아 운명 결정의 시작, 낭배 ‘나는 나중에 커서 어떤 사람이 ... ...
- [우주탐험대] 매리너 2호 / 금성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생명체가 살 수 없다는 걸 알아냈어요.매리너 2호는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을 공전*한최초의 탐사선이랍니다. 금성금성은 태양과 달에 이어 세 번째로 밝아요.금성이 밝은 건 두꺼운 대기*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이에요.대기가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을 반사하여 행성이 빛나 보이지요.하지만 두꺼운 ... ...
- 네, 그래서 이과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어봤습니다 ❸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클론(복제 개체)이 태어났습니다. 클론에는 ‘커트’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1972년 세계 최초로 샌디에이고 동물원에 냉동 동물원을 만들었던 미국의 유전학자 커트 베니쉬케의 이름을 땄죠. 프르제발스키 말은 현재 전 세계에 약 2000마리가 남아있습니다. 개체 수가 적어 유전적 다양성이 풍부하지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