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키"(으)로 총 1,90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외계행성 찾아 떠난 위성 ‘키옵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수치”라고 말했지. 그럼 진짜 탐사에 들어가면 뭘 할 거야?진짜 탐사에 들어가면 키옵스는 용암 바다로 덮인 ‘게자리 55 e(55 Cancri e)’를 살펴볼 거야. 게자리 55 e는 표면의 온도가 2000℃ 이상인 아주 뜨거운 슈퍼지구로 잘 알려져 있지. 또, 불타는 얼음 행성이라고 불리는 ‘글리제 436 b(GJ 436 b)’ ... ...
- [퍼즐라이프] 정이십면체를 만들어라! 키슬 퍼즐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코로나19 때문에 외출도 못하고 지루한 하루를 보내고 있나요? 그렇다면 ‘키슬 퍼즐’과 함께 슬기로운 퍼즐 생활을 즐겨봅시다! 키슬 퍼즐은 체코의 퍼즐 디자 ... 두 변의 길이도 황금비를 이루죠. 자, 길이의 비까지 알았으니 스티로폼 공과 이쑤시개로 키슬 퍼즐을 만들어 풀어보세요 ... ...
- 비대면 사회, 문제점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들도 있어.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비대면 사회, 디지털 격차를 키우다지난 4월, 학생들이 학교에 가지 않고 집에서 인터넷으로 수업하는 온라인 개학을 했어요. 처음 이뤄진 온라인 개학에 문제점들도 드러났지요. 온라인 수업을 듣기 위해선 스마트 기기나 인터넷 등 ... ...
- [인터뷰] 수학 증명 과정은 롤러코스터 타는 것과 같이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플로리스 타컨스는 1979년 이 답이 ‘가능하다’ 라는 것을 증명했어요. 그런데 필립키비츠와 타컨스가 증명한 것은 무한개의 전체 곱셈표를 알 때 원래 r을 알아낼 수 있다는 사실이었어요. 유한개만 보고도 r을 알 수 있는지는 풀리지 않은 난제였죠. 김 교수님이 푼 것이 이 난제예요. 김 교수님은 ... ...
- 펭수의 인기 비결은 5가지 놀이 구조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요소를 골고루 갖춘 덕에 캐릭터로서 성공했다고 분석했습니다. 210cm의 펭귄치고 너무 큰 키와 흰자위가 많이 보이는 눈과 무표정, 뽀로로와 BTS를 뛰어넘는 스타가 되고 싶어 남극에서 스위스와 인천 앞바다를 거쳐와 EBS 연습생이 된 4차원 감성이 재미의 축을 담당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투박한 ... ...
-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위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정확하게 알겠더라고요. 이후에도 저는 춤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Q 추가로 계획 중인 영상이 있나요?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기 위한 아이디어는 많습니다. 보컬의 음정 안정성을 분석하거나, 안무 난이도를 분석하는 등 더 다양한 분석을 위해 ... ...
- [한페이지 뉴스] 갯가재 주먹의 힘은 나노결정에서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분석해 집게발이 외부 충격을 분산시키는 데 유리한 구조를 가진다고 발표한 바 있다. 키사일루스 교수는 “갯가재의 집게발은 금속이나 세라믹 재료보다 더 우수한 충격 흡수 성능을 보였다”며 “자동차와 항공기, 방탄복 등 외부 충격을 견뎌야 하는 장비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가상인터뷰] 민첩한 동작 스스로 배우는 인공지능 4족 보행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오지 뭐야~?으~, 숨 막혀! 둘 다 내려와! 네 소개를 부탁해 안녕? 나는 라이카고! 나는 키가 약 60cm, 무게는 약 22kg인 네 발로 걷는 로봇이야. 초당 0.8m 속도로 빠르게 움직일 수 있고 20°까지의 경사도 오를 수 있지. 9kg 이하의 물건도 옮길 수 있어. 중국 항저우에 있는 로봇 스타트업 ‘유니트리 ... ...
- [기획] 세거나 나열하면 보인다! 카드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약속하고 카드를 배열해 거리를 알려줍니다. 예를 들어 히든 카드에 적힌 숫자가 키 카드보다 4만큼 크다면 카드를 나가다 순서로 배열하면 되죠. 어때요, 알고 보면 참 쉽죠? 질문 한 번으로 카드 꿰뚫어 보기 이번에는 동생인 제가 좀 더 쉬운 마음을 읽는 마술을 알려주죠. 우선 이 마술의 ... ...
- '갤럭시 A 퀀텀'에 탑재됐다는 양자난수생성기는 무엇?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있겠지만). 이처럼 예측할 수 없는 숫자 나열이 바로 난수다. 난수는 보안에 필요한 암호키 외에도 온라인 RPG(역할수행게임)에서 아이템을 무작위로 발생시킬 때, 음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앱)이 랜덤 재생 기능을 실행할 때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시뮬레이션, 작물 수확량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