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수예"(으)로 총 1,1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북한의 수학교육이 궁금하다!수학동아 l2012년 07호
- 2011년 전 세계 수학 영재들이 수학 실력을 겨루는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북한은 7위, 남한은 13위를 했다. 북한이 해마다 10위권 이내에 들었던 남한보다 우수한 결과를 낸 것이다. 한편 북한의 수학 용어는 남한의 수학 용어와 달라서 낯설기까지 하다. 가깝고도 먼나라, 북한에서 수학교육이 어 ...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공습 경보! 공습 경보!”먼지가 우리를 공격하기 시작했어. 빨리 막아야 해. 그런데 먼지는 너무 작아서 잘 볼 수가 없어. 게다가 박테리아만큼 작은 미세먼지와 옷에서 떨어져 나온 마이크로플라스틱은 더 안 보여. 눈에도 잘 보이지 않는 작은 것들의 습격,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 중국 미세먼 ... ...
- 진화에서 인공지능까지, 똑똑한 유전 알고리즘수학동아 l2012년 05호
- 난 다윈. 진화의 원리를 발견한 사람이지. 내가 처음에 진화론을 주장할 때는 ‘우리 할아버지가 원숭이냐?’라는 비아냥거림도 많이 받았는데, 요즘엔 대다수가 받아들이는 과학적 사실이 됐다더군. 게다가 요즘엔 내가 발견한 진화의 원리를 이용해 컴퓨터 프로그램도 만들고, 어려운 수학 문제 ...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작년 울산의 여러 산업체를 견학하고 돌아온 고등학생 아들에게 가장 인상적인 것이 뭐냐고 물었다. 아들은 주저없이 현대중공업에서 본 대형 선박을 꼽았다. 선박이 그렇게 큰 물체인지 몰랐다는 것이다.현재의 선박들, 특히 대형 상선들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크다. 최근 들어 선박은 더욱 더 ...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수학동아 l2012년 05호
- 안녕하세요! 수학적인 특허소, 줄여서 ‘수특’의 소장입니다. 반갑습니다.5월 19일 발명의 날을 맞아 일상생활에서 빛나는 수학의 아이디어, 또는 수학적인 발명품에 특허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어김없이 제 옆자리에는 두 CEO가 나와 계시네요. 세계적인 전자회사 S그룹의 박회장과 파인애플사 ...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4호
- α가 유독 관심 받는 이유는?그런데 물리상수는 왜 이런 값을 갖는 걸까. 이 물음은 현대 물리학자들에게 아주 흥미로운 문제다. 그러나 그 누구도 풀어내지 못했다. 단지 물리상수의 값이 조금만 달랐어도 우주에는 생명의 탄생과 같은 복잡한 현상이 생겨나지 못했을 거라는 추측만 할 뿐이다. 우 ...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우리는 M! I! B! 바로 Math In Black이지. 어둠 속에서 수학으로 외계인을 찾는 특수 조직이야. 우리를 Men In Black이라고 착각하진 말아 줘. 우린 그 친구들처럼 우주를 다 부술 기세로 외계인을 찾거나 하지 않아. 우리는 우아하게 수학으로 외계인을 찾지.영국의 솔즈베리에서 발견된 두 개의 원형무늬나 ... ...
- 사람도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지난 5월 장기기증 신청자가 처음으로 10만 명을 넘어섰다. 반면 인체조직은 사망한 뒤 기증할 수 있다는 사실조차 거의 모른다. 인체조직기증은 각막과 피부, 뼈 등을 기증하는 것이다. 한 사람의 조직으로 무려 150명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다.조직기증은 각막과 피부, 뼈, 심장 판막, 양막, 연골, 인 ... ...
- 1998년 윌리엄 마틴 교수의 진핵생물 기원의 수소가설 제안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세포로 이뤄진 생명체를 단 두 종류로만 나누는 기준은 어떤 게 있을까. 언뜻 동물과 식물이 떠오르지만 미생물은 어디에도 속하지 않기 때문에 탈락이다. 그렇다면 세포핵이 있는 생명체와 없는 생명체라는 구분은 어떨까. 사실 세포핵의 유무는 생명체를 분류하는데 생물학적으로도 가장 의미가 ... ...
- 인공위성 수명 연장의 꿈과학동아 l2011년 12호
- 1957년 10월 4일 옛 소련이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1호를 발사한 이래 지금까지 우주에 올라간 인공위성은 7000개 정도다. 이중 절반은 대기권에 돌입해 불타버렸고 남은 절반 중 현재 작동하는 건 1000개가 채 되지 않는다. 하릴 없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인공위성이 무려 2000대가 넘는다는 얘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