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징후
표현
표지
조짐
제시
표명
암시
d라이브러리
"
표시
"(으)로 총 2,353건 검색되었습니다.
알고리듬으로 더 빠르게 지뢰를 찾자!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공개된 칸 주변에 지뢰가 분포할 수 있는 경우는 총 11가지야. 아래 ➌의 그림에
표시
된 칸은 11가지 중 10번이나 지뢰가 있었으니 실제 지뢰가 있을 확률이 매우 높겠지?하지만 단순 알고리듬과 탱크 솔버 알고리듬을 사용해 대부분의 지뢰를 찾았다고 해도 몇 칸 남지 않은 마지막 순간엔 절반의 ... ...
[별 헤는 수학] 태양 폭풍 감시자, 우주재해로부터 지구를 지켜라!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됩니다. 경계선 만들기를 마치면 처음 점을 찍은 곳에 한 번 더 점을 찍어 줍니다. 이렇게
표시
한 태양 폭풍의 경계선은 불규칙한 모양의 다각형이 됩니다. 천문학자들은 많은 시민천문학자가 같은 사진 위에 그린 다각형을 모아 놓고 분석합니다. 그림 ➋는 하나의 태양 폭풍 사진을 30명이 관찰하며 ... ...
슬기롭고 과학적인 전동킥보드 생활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함께 하는 중이다. 시원하고 쾌적한 바람에 좋아하는 것도 잠시, 배터리가 없어 정보
표시
창이 깜빡이기 시작했다. 주차장까지 가려면 끌고 가야겠는데…. 개인형 이동장치의 가장 큰 장점은 이동 편의성이 뛰어나다는 것이다. 다른 탈 것들에 비해 크기가 작아 주행하거나 보관하기도 쉬울뿐더러, ... ...
#TMI 김 기자의 슬기로운 홈트 생활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걸 어떻게 알까? 합성곱 신경망을 거친 뒤엔 아래 사진처럼 각 부위에 12개의 점이
표시
돼요. 이 점들을 우리 몸과 비슷하게 연결하면 각 부위를 나타내는 선분이 생기죠. 트레이너의 신체에도 이런 과정을 적용한 뒤 트레이너의 선분과 내 신체의 선분이 이루는 각도를 비교하면 자세가 얼마나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현장에서 탐사 중인 과학자가 쉽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글 어스(Google Earth)에
표시
해 제공한다. 영상레이더의 해상도를 50cm로 개선한 아리랑 6호가 발사되면 히든 크레바스의 위치와 분포를 더 상세히 탐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인공위성 영상은 남극 대륙에서 육상 활주로를 건설할 수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확률이 높다. 이렇게 제작한 북극 해빙 지도는 해빙이 갈라져 드러난 틈(lead)까지
표시
될 만큼 정교하다. 해빙의 갈라진 틈새로 드러난 해수는 직접 외부와 에너지를 교환한다. 따라서 북극해에 구름이 생성되는 과정이나 해빙 아래 생물들의 활동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이런 틈을 지도로 만드는 ... ...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모기 기피제 효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기피제’ ‘모기 완벽 퇴치’ 등의 문구만 요란한 제품보다 ‘의약외품’이라는 용어가
표시
된 제품을 고르는 게 좋다는 뜻입니다. 또 밴드나 패치(스티커) 형태의 모기 기피제는 인증절차가 따로 없는 공산품이어서 효과가 미미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효력을 인정받은 모기 기피제라도 사용자에 ... ...
어떤 디자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새로우면 1점, 보통이면 4점, 매우 익숙하면 7점입니다. 동시에 캐릭터에 대한 선호도도
표시
하게 했죠. 그다음 ‘회귀분석’을 이용해 캐릭터의 선호도에 비례해 증가하는 요소를 알아봤습니다. 회귀분석은 둘 이상의 변수 사이의 관계를 알 수 있는 통계 분석법이에요.그 결과 캐릭터의 선호도와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여자친구라는 헤어날 수 없는 미궁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전체 모양을 몰라도 항상 사용할 수 있는 미로 풀기 알고리듬의 일종이다. 지나간 길에
표시
하면서 경로를 찾는 방법인데, 헨젤과 그레텔처럼 빵 부스러기를 남기면서 다닌다고 생각하면 쉽다. 트레모 알고리듬의 규칙이 복잡하게 보여도 두 번 지난 곳은 절대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만 이해하면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속 영상이 바뀌는 작품을 만들고 싶다면, 관객의 행동이나 표정이 입력값이고 화면에
표시
되는 영상을 결괏값으로 하는 알고리듬을 만들어야 합니다. 예술가가 작품을 통해 나타내고 싶은 메시지는 예술가가 정한 알고리듬의 계산 절차에 따라 바뀌는 거죠. 팀랩은 수학동아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