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강하며, 상호작용하는 암흑물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연구의 큰 매력입니다. § 김성식 중앙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2020년에 같은 대학 물리학과 대학원 박사과정에 입학했다. 입자 관점에 기반한 암흑물질 이론들과 각 이론들이 암시하는 바를 연구 중이다. sskim.working@gmail ... ...
- [특집] 국내 최초 도입, 암 세포를 정조준할 탄소 탄환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서울 신촌에 위치한 연세의료원 중입자 치료센터에 방문했다. 김진성 연세대 방사선종양학과 교수의 안내를 받으며 중입자가속기를 보러 지하 4층으로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간 시간은 낮 12시. 하루 종일 가동되는 가속기는 직원들의 점심시간에만 잠깐 운행을 중단한다. 엘리베이터에서 내리자 ... ...
- [기획] 24마리에서 2억 마리로 늘어난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나는 속 흰토끼야. 올해 한국이 검은 토끼의 해인 계묘년을 맞았다고 해서 영국에서 놀러왔지. 바로 호주에서 150여 년간 벌어진 토끼와 사람의 치열한 전투를 들려주기 위해서 말이야. 토끼와의 추격전부터 생물보안의 개념까지! 지금부터 내 이야기를 잘 따라와 봐! ... ...
- [러셀 탐구생활] 러셀의 발자취를 따라서…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전과했어요. 더 깊은 수학과 철학의 세계를 만나보고 싶었거든요. 우선 역사적으로 수학과 철학이 함께 발전해온 영국에서 교환학생으로 1년간 지내며, 학자의 삶을 맛보려 합니다. 러셀의 발자취도 따라가볼 거예요. 지금 이 비행기가 어디쯤 가고 있는지 전혀 알 수 없고, 앞으로 어떤 일들이 ... ...
- 어떻게 하면 가장 맛있는 감자칩을 먹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부서져 찻잔에 빠지거나 테이블을 더럽힐 테니까. 렌 피셔 영국 브리스톨대 물리학과 교수의 연구 주제가 바로 이것이었다. 그는 영국 사람들이 차에 가장 많이 찍어 먹기로 유명한 비스킷 제조 회사인 맥비티즈의 의뢰를 받아 최적의 덩크 조합을 찾는 연구를 진행했다. 물리학적 관점에서 ... ...
- [특집] 물렁물렁 슬라임 과속방지턱부터 로봇까지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말캉말캉 몰랑몰랑! 손으로 만지며 가지고 놀 수 있는 이 장난감의 이름은 슬라임이에요. 슬라임을 만지다 보면 스트레스가 날아가기도 하고 마음이 편안해지죠. 슬라임이 이렇게 액체 같기도 하고, 고체 같기도 한 이유는 뭘까요? 슬라임의 원리와 다양한 활용에 대해 소개합니다. ▼이어지는 ... ...
- [특집] 슬라임으로 로봇을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미세한 틈도 문제없이 지나간다2022년 3월 홍콩중문대학교 기계자동엔지니어링학과 리 장 교수팀이 슬라임으로 탁구공 크기의 로봇을 만들어 공개했어요. 슬라임의 주재료인 폴리비닐알코올(PVA)과 붕사에 네오디뮴 자석 가루 입자들을 넣어 만들었기 때문에 자성을 띠고 있지요. 조금 떨어져 있는 ... ...
- 엄마가 말하는 최-정-담, 호기심이 넘쳐 흐르는 아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다양한 분야에 얼마든지 도전할 수 있고 다 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된 것 같다. 특히 과학과 수학이 많은 호기심을 해결해준다는 사실을 자연스레 깨달아 관심을 갖게 된 게 아닐까. Q. 특별히 자녀에게 강요한 게 있다면 무엇인가. 집에 TV를 두지 않았고, 자녀에게 휴대전화를 주지 않았다. 1 ... ...
- [과동키즈] “과정을 즐기는 것이 학자의 삶이죠”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이론이었기에, 살아있는 세포를 직접 공부하고 싶었다. 그래서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화학과 제이 그로브스 교수님과 함께 면역세포 중 하나인 T세포의 세포막 없는 세포 소기관이 면역세포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공부하고 있다. 바이러스를 만들고 세포를 키워나가는 것까지, 분자생물학의 여러 ... ...
- [꿀꺽! 수학 한 입] 마트에 가면~♪ 과자도 있고, ‘숫자’도 있고?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가장 높은 자릿수가 2에서 1로 바뀌었기 때문이에요. 이홍주 숙명여자대학교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가격의 맨 앞자리 숫자가 2에서 1로 바뀌면 소비자들이 ‘2만 원’ 이상의 물건이 아닌, ‘1만 원대’의 저렴한 물건이라고 느끼게 되는 거예요”라고 설명했어요. ☞오디오로 들어요 http://m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