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주"(으)로 총 1,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위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인터뷰 'techie_ray' 채널 운영자, 레이 선Q 자기소개를 부탁합니다.안녕하세요. 저는 호주에 살고 있는 레이 선(Ray Sun)입니다. 시드니에서 변호사로 일하고 있어요. Q 변호사라고요? 당연히 프로그래머일 거라고 생각했어요.코딩은 사실 제가 하는 일과는 별로 관련이 없어요. 단지 취미로 ... ...
- 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슬기로운 벌집 생활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육각형 셀에만 주목했던 과학자들은 이후 벌집의 전체 구조에도 눈을 돌렸다. 특히 호주에 서식하는 침이 없는 꿀벌인 테트라고뉼라 카르노나리아(Tetragonula carnonaria)의 벌집 구조는 3차원으로 쌓아 올린 나선형 계단식 모양으로, 이렇게 벌집을 위로 쌓아 올려 만드는 꿀벌은 이 종이 유일하다 ... ...
- [때문에 과학] 1탄. 꿀잠 좌우하는 심부 체온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것으로 알려지면서 둘 사이의 관계를 증명하는 연구결과들이 속속 발표됐다. 특히 1993년 호주 플린더스대 연구팀은 심부 체온과 수면이 서로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 8명을 대상으로 대장의 끝부분인 직장의 온도와 수면 상태의 상관 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 ...
- 스코틀랜드 여성이라면 누구나! 생리대 무상보급, 그 배경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시행 방안을 논의하고 있답니다.한편 생리용품에 붙는 세금을 없애는 시도도 있어요. 호주와 인도, 캐나다, 미국 일부 주에서는 생리용품에 붙는 세금, 일명 ‘탐폰세’를 아예 폐지했지요. 또 올해 1월 독일에서는 생리용품에 붙었던 19%의 세금을 7%로 내렸어요. 이전까지 담배나 와인과 같은 ... ...
- [한장의 과학] 어떤 비밀이 담겨있을까? 개구리 두개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비슷하게 발달했거든요. 연구를 이끈 다니엘 팔루 박사과정생은 “멕시코맹꽁이와 호주거북개구리는 계통이 먼 친척이고 서로 다른 곳에 서식하지만, 먹이 습관과 두개골이 비슷하다”는 예를 들었어요. 연구팀은 “생태 환경이 두개골 모양을 변화시켰는지, 혹은 그 반대인지 순서를 알 수는 ... ...
- [조광래의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운명의 9분, 대한민국에 '성실실패'란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내지 못했다.궤도에 안착하지 못한 위성은 추락할 수밖에 없다. 비행궤적을 계산해보니 호주 북부의 사막지대 방향으로 낙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하는 물체가 300km가 넘는 높은 고도에서 초속 5km 이상의 속도로 추락하는 경우 공기역학적 마찰열에 의해 거의 다 타버린다. 때문에 잔해물이 ... ...
- [기초과학의 힘] RNA 연구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완벽한 유전체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20년 08호
- 2 유전체 지도 중 가장 정밀한 지도라는 평가를 받는다. 사실 RNA 연구단보다 5일 앞서 호주 멜버른대 연구팀이 RNA 염기분석 결과를 ‘바이오아카이브(bioRxiv)’에 공개했다. 그러나 해당 결과는 염기서열을 읽어내는 데 중점을 둬 분석 내용은 많지 않았다. doi: 10.1101/2020.03.05.976167v1RNA 연구단은 읽어낸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탐색시스템에 대해 소개 부탁드려요~. 이충욱 KMTNet은 동일한 성능의 망원경 3대를 호주와 남아프리카공화국, 칠레에 설치해 우리은하 중심부를 집중적으로 관측하고 외계행성을 찾는 시스템입니다. 망원경이 설치된 3곳은 각각 밤이 되는 시간이 조금씩 달라서 관측하려는 지역의 천체를 24시간 ... ...
-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천연두바이러스는 과거에 실제 무기로 사용됐다. 영국은 1700년대 현재의 미국과 호주 대륙 원주민을 멸족하기 위해 천연두바이러스에 오염된 담요를 선물로 건네줬다는 기록이 여럿 남아 있다. 더불어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영국, 미국, 일본에서 천연두바이러스를 무기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유정란만 사용할 수 있다. 백신 생산 과정에 유정란이 쓰이기 시작한 건 1932년부터다. 호주의 미생물학자인 프랭크 버넷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 배양을 연구하던 중 우연히 유정란에서 배양된 바이러스의 병원성이 크게 약해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버넷은 처음으로 유정란을 이용해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