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
스승
선생님
스승님
어린이과학동아
"
교수님
"(으)로 총 641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리가우리에게미치는영향
기사
l
20201026
리듬이 강한 음악이 더욱 강하게 만듭니다. 단맛은 피아노 음악을,쓴맛은 금관악기 음악을 들으시면 맛이 더욱 강해질 것입니다. 찰스
교수님
은 이것을 음파양념이라고 부릅니다. 음파양념을 사용하면,카페인 나트륨 양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같은 맛을 낼 수 있습니다 3.다른 효과 음악의 다른 효과에 대해서는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상상력을 높여주는 것 등 ...
코로나 이후 쓰레기 급증! 세계에서가장 일회용품을가장많이쓰는나라,2050물부족 국가는?
기사
l
20200919
이 순간에도 일회용품 쓰레기는 계속 버려진 답니다. 정말 어마어마 하지 않나요? 혹시 여러분은 최재천
교수님
을 아시나요? 최재천
교수님
은 인터뷰에서 "이대로 계속 환경이 파괴가 되면 거의 매년 지구상 어딘가에서 에피데믹(국지적유행) 수준의 유행병이 터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씀하셨어요. 실제로 20세기에서는 20~30년 간격으 ...
KNU 스타트업 큐브에서 디지털 세상을 체험하다!
기사
l
20200810
마지막으로 직접 그린 그림으로 플라스틱에 ‘디지털 프린트’를 하여 열쇠고리도 만들어 보았습니다. 작품이 완성되는 동안
교수님
의 지도 아래 줄톱으로 나무를 자르는 체험도 해보았습니다.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이번 교육과 체험으로 여러 가지 새로운 디지털 장비를 직접 보고 배울 수 있어서 정말 ...
탐험대학 박진영멘토님의 실수
기사
l
20200705
제 의견상으로는 실제 티렉스의 모습과는 정말 다릅니다. 두상형태 자체가 완전히 다르죠. 저는 박진영 멘토님이 탐험대학의
교수님
으로서 정확한 과학적 정보를 전달해야하는 임무를 다하지 못했다고 생각이 듭니다. 쥬라기월드의 티렉스는 영화적 상상력이 동원된 키메라(여러 유전자가 섞인 혼종)이기에 저런 쥬라기월드 피규어가 아닌 이런 실제 티렉스의 모습 ...
돌리고, 돌리고~! 200원짜리 원심분리기 만드는 방법!
놀이터
l
20200605
원래 원심분리기는 수백만 원인데, 이걸 단돈 200원으로 비슷하게 만들 수 있답니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마누 프라카시'
교수님
이 개발한 방법이라고요! 그리고 빙글빙글 돌리는 인싸 게임도 함께 소개합니다! 실험 1. 실팽이로 원심분리기를 만드는 방법은? ※ 라이터와 송곳을 사용할 땐 어른과 함께! 실험 2. 컵으로 탁구공 ...
장이권
교수님
과 꾸룩새연구소
포스팅
l
20200604
TV 로만나니 더 반갑네요!!! ...
프사
포스팅
l
20200520
프사 바꿨어요 ㅋㅋㅋ 병맛으로 요 어떤 인사
교수님
이 병맛으로 바꾸면 투뎃 늘어나신다고 하셔섴ㅋㅋ ...
<지사탐 탐사기> 탐사 위크를 맞아서
기사
l
20200506
했어요. 공지사항에서 큰부리까마귀 동박새 방울새 소리를 미리 들어봤어요. 작년에도 첫 탐사활동이 소리모아여서 장이권
교수님
설명도 들었고 아빠가 여러 새소리도 인터넷에서 찾아 들려주셨어요. 그런데 몇 번을 들어도 익숙하지 않은 새소리는 금방 까먹어서 구분이 안되는데 아빠가 특징을 잡아주셨어요. 아차산은 정말 많은 자연생물이 가득해서 탐사 ...
탐험으로 만나는 더 큰 세상! 탐험대학을 소개합니다!
기사
l
20200330
가졌습니다. 로봇을 만들 때 중요한 것은 What How 그리고 WHY! 라고 질문해 보는 것입니다. 이날 저는 한양대학교 로봇공학과의 한재권
교수님
도 처음 만났고, 보고 싶었던 로봇인 히어로스 연구실의 스키타는 로봇도 직접 보고 만져보았습니다. ...
초등학생을 위한 실험실 콘서트:과학과 음악
기사
l
20200121
그리고 좌뇌,우뇌와 그 두 뇌를 연결하는 뇌량을 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다리라고 쉽고 재밌게 설명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카이스트
교수님
께서 나와 뇌를 볼 수 있는 기계도 보여주시고 실제로 화면에 띄어 보여주셨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저학년과 고학년 사이정도인 3,4학년 정도에게 추천드립니다. 뇌의 대한 내용이 저학년에게는 조금 어렵고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