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응용과학
뉴스
"
과학기술
"(으)로 총 16,95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물·기름으로 1분만에 박막 제작하는 공정 기술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17
이차전지 소재 산업을 중심으로 신성장 동력산업을 육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광양시
과학기술
특임대사로 임명된 김 교수는 국내 리튬이차전지 분야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다 ... ...
항생제 내성도 일으키는 미세플라스틱...광합성 방해 영향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3.17
미세플라스틱이 방출될 수 있는 플라스틱 소재의 생수병에 물이 담겨 있다. 위키미디어 제공 지름 5mm 이하로 아주 작은 크기인 미세플라스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구체적으로 밝혀지고 있다. 생수병 등 다양한 식품 포장재에서 방출되는 미세플라스틱은 뇌, 심장, 태반, 음경 등 인체 곳곳에 축 ... ...
올해 지역
과학기술
혁신에 6조6528억원 투자…전년 대비 10%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5.03.16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로고.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제공 정부가 지역
과학기술
혁신을 위해 올해 6조6528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전년 대비 10% 증가한 규모다.
과학기술
정보통신 ...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2025년 9대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계획.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 ...
손상없는 지방간 유사장기 개발…"신약 효과 확인에 최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3.16
왼쪽부터 한국화학연구원 신대섭 책임연구원과 김현우 책임연구원이 지방간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의 상태를 살펴보고 있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지방간 치료 신약 약효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질환 모델 인공장기와 비파괴 경도 분석 기술을 개발했다. 인공장기가 배양액 속에 ... ...
미국 '민감국가' 지정에 과기계 '직격탄'…원자력·AI 협력 위축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6
정부는 현재 공식 외교 채널을 통해 관련 내용을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 중이다.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관계자는 "외교부 등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라고 연합뉴스에 전했다. 한편 미국 에너지부 대변인은 14일(현지시간) “에너지부는 광범위한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CL)’을 ... ...
기억마저 복제한 존재, 진짜 '나'일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5.03.15
딜레마까지 직시하며 미래 과학이 인간 존재의 의미를 어떻게 재정의할지 묻는다.
과학기술
의 발전은 인간다움의 본질을 확장하거나 재구성할 힘을 갖지만 사회적 합의 없이 이 힘을 일방적으로 발휘하기는 어렵다. 결국 미래의 복제 기술은 인간과 기술의 관계를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달렸다. ... ...
LED 조명 350개 켠 '테이프 발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3.15
박스테이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선물을 포장하기 위해서는 테이프가 필요합니다. 테이프는 매끄러운 필름 면과 끈적한 면으로 이루어진 물건이에요. 포장용 테이프의 필름은 주로 플라스틱이나 종이로 이루어져 있고 전선에 전기가 흐르는 것을 막아주는 절연 테이프의 필름은 전기가 흐르지 ... ...
[인사]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파견 이재흔 △기획재정담당관 조경옥 △양자혁신기술개발과장 심주섭 △통신이용제도과장 신대식 △
과학기술
전략과장 이종우 △연구예산총괄과장 박상민 △연구평가혁신과장 ... ...
자연 보면 통증 줄어든다…'플라시보' 아닌 실험으로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자연 풍경을 감상하면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자연 풍경을 감상하면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약물을 이용하지 않고 통증을 치료하는 새로운 유형의 방법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국 엑서터대와 오스트리아 빈 ... ...
유산균이 자궁경부암 발생 억제하는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게재됐다. - doi.org/10.1038/s41467-025-57323-6 왼쪽부터 정영태 대구경북
과학기술
원(DGIST) 교수, 정근오 칠곡경북대병원 교수, 이민호 동국대 교수. DGIST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