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
광택
윤
불빛
창고
라이트
광선
뉴스
"
광
"(으)로 총 52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KAIST, 현장 진단용 초고감도 바이오센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19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4월 29일자에 게재됐다. ■
광
주과학기술원(GIST)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컴퓨터과학 인공지능(AI) 연구소와 AI 분야 국제 공동연구를 위한 연구협약을 최근 체결하고, 5년간 수행할 6개 연구과제를 최종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양 기관은 우선 AI ... ...
사람 눈처럼 빛에 적응하는 반도체 소자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8
제작했다. 수분과 유기용매에 약한 페로브스카이트에 불소 첨가 고분자를 코팅해
광
검출 성능과 효율을 높였다. 연구팀은 "여러 환경에서 빛에 따른 소자의 적응 정도를 연구했다"며 "이를 통해 사람 눈과 비슷한 빛의 적응성을 보이는 소자 개발에 성공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빛을 ... ...
실리콘 태양전지에 한층 가까운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1.10.17
신소재공학과 연구팀의 이론 연구와 안형주 포항가속기연구소 산업기술융합센터 방사
광
응용팀 연구원팀의 가속기 고도분석도 포함됐다. 신현정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 ...
기억 흔적 추적하고 반도체 발열 해결 방안, 자율주행차 SW 검증 방법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1
수 있는 신약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종석
광
주과학기술원(GIST) 물리·
광
과학과 교수팀은 나노미터 크기의 계면에서 일어나는 열의 움직임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반도체 등 전자 소자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점점 중요성이 커지는 발열 문제를 ... ...
[과기원은 지금] GIST, 반도체 표면에서 초고속 전하 움직임 실시간 추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07
시료 크기를 줄이지 않고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에 성공했다. 반도체 기반 초고속 나노
광
소재 개발에 기여할 전망이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달 17일 국제학술지 '응용표면과학' 온라인판에 실렸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6일 차세대반도체융합연구소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 ...
[의학바이오게시판] 서울대치과병원 중앙장애인구강진료센터 개소 2주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정량
광
형
광
’ 기술이 건강보험 급여 항목으로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해당 기술은 가시
광
선을 이용해 치아우식 유무를 확인한다. 기존 검사법으로 확인이 어려운 초기 충치를 잡아낸다. 김 교수팀은 2006년부터 15년간 이 기술과 관련해 과학기술색인(SCI)급 국제전문학술지 논문 48편과 ... ...
1시간에 담수 1.6kg 생산…효율 90% 해수담수화 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8.22
증발기를 3D 프린팅으로 제작할 수 있게 만들어 제작비도 낮췄다. 장 교수는 “3D 프린팅
광
증기 증발기라는 매우 경제적인 방법으로 전 세계 담수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4일자에 실렸다. ... ...
[과학게시판] 고려대 'KU 테크 페어 for CES 2022'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부도체와 반도체, 도체의 성질은 물론 초전도 현상까지 가진 산화물로 주로 태양전지의
광
흡수층에 쓰인다.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효율이 높다. 전남중 에너지소재연구센터 책임연구원팀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작 과정을 단축할 수 있는 원료물질을 개발했다. 정제과정을 거쳤기 ... ...
구부리고 겹쳤더니 새 기능 쏙쏙... '변신의 귀재' 2차원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1.08.13
이 결합해 만들어지는 '엑시톤'이 서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빛을 활용한다. 그러나
광
원으로 쓸 정도의 높은 에너지를 가하면 엑시톤이 너무 많아지고 서로 결합하면서 빛 대신 열을 낸다. 통상 가해진 에너지의 15%만 빛으로 전환하고 85%는 열로 바뀐다. 연구팀은 2차원 반도체 소재를 0.5%만 ... ...
절벽에서 아침을 맞은 개
팝뉴스
l
2021.08.11
화제인데 일부는 개의 심정은 어떨까 궁금하다고 말한다. 개도 행복할까? 아니면 절벽
광
주인을 만나서 큰 고생을 하고 있는 것일까? 개를 동정하는 여론도 있지만, 일부 네티즌들은 개가 부럽다고 말하기도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