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꽁지
뒤꽁무니
꽁무니
숨바꼭질
술래잡기
태그
술레잡기
뉴스
"
꼬리
"(으)로 총 753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리두기' 29일 격상 여부 최종 결정…격상 5일만에 또 다시 조정
동아사이언스
l
2020.11.27
중심의‘1차 유행’ 수준이지만 이번에는 전국 곳곳에서 일상 공간을 고리고 집단감염이
꼬리
를 무는 상황이어서 감염병 전문가들은 이번 3차 유행이 앞선 1차 유행을 능가할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손 반장은 "수도권의 경우 언제, 어디서 감염이 돼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수도권 ... ...
[인간 행동의 진화]왕이 될 상은 따로 있을까
2020.11.08
맨날 인상을 북북 쓰고 다니면 양미간에 세로주름이 생길 테지만, 늘 활짝 웃고 다니면 입
꼬리
에 주름이 생길 것이다. 표정과 성격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링컨의 말은 성형외과 상담실장이 환영할 만한 말이다. 하지만 그외는 좀 부당하다. 외모 때문에 출세 기회를 잃은 남자의 얼굴은 분명 더 ... ...
[주말N수학]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을 낳는다
수학동아
l
2020.11.07
블랙홀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1965년에 증명했는데, 이는 약 200년에 걸쳐
꼬리
에
꼬리
를 문 질문을 수학 문제로 바꾸고, 그것을 증명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노벨상 안긴 블랙홀 발견도 ‘질문’에서 시작 질문① 천체가 밀집하면 어떻게 될까? 로저 펜로즈 옥스퍼드대 교수. ... ...
'슈퍼전파자' 발생 가능성 예상외로 높다…"한국도 예외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0.11.03
분석한 결과 한국에서도 정규분포보다 슈퍼전파자가 발생할 확률이 70% 가량 높은 두꺼운
꼬리
분포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슈퍼전파자를 막는 전략을 찾기 위해 감염병 모델을 고안했다. 슈퍼전파자 발생 빈도가 정규분포보다 높게 만들수록 슈퍼전파자를 통해 감염되는 이들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놓았을 때 서로 인접하지 않은 옵신이 반응하는 빛이 비스펙트럼 색으로 보인다. 넓적
꼬리
벌새(오른쪽 아래)는 네 가지 옵신으로 색을 본다. 오른쪽 위 그래프는 각 옵신의 파장별 민감도를 보여준다. 왼쪽은 벌새의 4색형 색각을 나타내는 색공간으로 UVS/VS-SWS-MWS-LWS로 이어지는 변이 스펙트럼 색 ... ...
물고기 떼지어 춤추듯 움직일 때 에너지 소모 줄어
연합뉴스
l
2020.10.27
자세를 분석한 결과, 자연 상태에서도 이용되는 것을 확인했다. 쿠진 박사는 "주변과 (
꼬리
지느러미 움직임을) 일치시킴으로써 집단적으로 만든 소용돌이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단순한 규칙을 발견했다"면서 "로봇 물고기 실험 이전에는 무엇을 볼지 몰랐기 때문에 이런 규칙은 일상 ... ...
[코로나19 연구속보] 유전자 추적 '바코드'가 코로나19 전파와 진화 신속하게 찾아낸다
2020.10.22
차이가 나타나는 바이러스에 ‘정보 하위 유형 마커(Informative Subtype Markers ISM)'라는
꼬리
표를 붙여 분류한다. 연구팀은 최근 같은 방식을 적용해 코로나19를 유발하는 바이러스(SARS-CoV-2)의 미세한 유전자 변이를 신속하게 검출하고 분류할 수 있다고 국제학술지 ‘플로스 계산생물학(PLoS Computing ... ...
[코로나19 연구속보] 당신의 반려동물도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하다
2020.10.13
감염 사례와 일치한다. 연구진은 실험실 연구에서 감염 가능성이 확인된 흰족제비와 짧은
꼬리
원숭이를 비롯해 고양이, 개, 사자, 호랑이 등 현재까지 보고된 감염 가능성을 모델링 연구를 통해 예측했다. 연구논문의 제1저자인 수닷람 UCL 구조분자생물학 및 말레이시아국립대 연구원은 ... ...
23일 새벽 떨어진 별똥별 정체는 두 차례 폭발한 '파이어볼'
동아사이언스
l
2020.09.23
많았다. SNS에서 차량 블랙박스 등을 통해 촬영된 후 공개된 동영상을 보면 불덩어리가
꼬리
를 길게 낸 채 하늘을 가로지른 뒤 사라지는 광경이 선명하게 찍혔다. 우주물체관측 임무를 수행하는 한국천문연구원은 “23일 새벽 1시 39분 경기와 충청 지역 일대에서 화구가 목격됐다”며 “유성체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으로 살빼는 시대 오나
2020.09.22
양이 미미할 것임을 생각하면 뜻밖의 결과다. 참고로 프로벤치오 교수는 1998년 올챙이
꼬리
피부의 색소세포에서 빛수용체인 멜라놉신(옵신4) 단백질을 발견한 사람이다. 그는 2000년 포유류(생쥐와 사람)의 망막에도 멜라놉신이 존재함을 밝혀냈다. 2002년 미국 브라운대의 데이비드 베르슨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