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개
주선
중간
간접
매체
수단
방편
뉴스
"
매개
"(으)로 총 695건 검색되었습니다.
꽃향기 확산, 눈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0
퍼지는 모습을 포착할 수 있어 꽃향기 합성 과분비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고 화분
매개
곤충과 상호작용을 통한 꽃향기 물질 진화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실제 백합에서 나오는 꽃향기를 시공간적으로 측정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꽃향기 분비의 실시간 가시화는 아직 ... ...
코로나19 확진 후 백신 접종 "미접종자는 1회면 충분"
동아사이언스
l
2022.05.06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중화항체를 비롯해 세포 내 바이러스를 없애는데 관여하는 세포
매개
면역반응도 계속해서 유지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다만 코로나19에 감염된 뒤 백신을 두 번 맞아도 한 번 맞았을 때보다 면역반응이 유의미하게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런 점을 ... ...
코로나19 바이러스 만나면 빛이 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03
간편하면서도 신뢰성 높은 진단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ACE2 수용체를 검출
매개
체로 활용하는 방안을 택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우리 몸의 ACE2 수용체와 결합하며 침투하는 기전을 활용한 것이다. 연구팀은 ACE2를 모방한 화합물을 만들고, 바이러스와 결합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분 좋은 터치의 비밀
2022.05.03
연구자들은 생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 실험에서 기분 좋은 감정을 유발하는 촉각을
매개
하는 물질과 여기에 반응하는 척수 뉴런의 수용체의 실체를 마침내 밝혀냈다. 정서 촉각 정보를 전달하는 C섬유는 피부 아래에서 시작해 척수의 층판Ⅱ에 있는 뉴런과 시냅스를 이룬다. 연구자들은 층판Ⅱ ... ...
"온난화 늦추려는 '지구공학', 말라리아 위험 높일 수 있어"
연합뉴스
l
2022.04.21
기후변화의 최전선에 있는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면 말라리아 같은 모기
매개
성 질환처럼 방치되고 있는 보건 부담 측면에서 이익과 위험도 추가로 검토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금수저의 '나쁜 논문'
2022.04.21
소중한 노동과 시간을 도용하기까지 했다. 지난 십수년간 한국사회에서 과학논문을
매개
로 벌어진 ‘학생-부모-선생-고등학교-대학’의 미성년 부정논문 카르텔은 모두 밝혀져야만 한다. 출처 강태영 KAIST 경영공학 석사& 강동현 시카고대 사회학 박사과 ,https://minvv23.notion.site/Research-1a29de36959241d7 ... ...
[과학게시판] 과천과학관 '선을 넘는 과학자들' 강연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20
발견 그리고 이종 간 연결, 남아프리카의 인간-개-야생생물 광견병 생태계 분석, 진드기
매개
동물성 중증열과 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 미래 팬데믹 대비를 위한 백신 개발 전략 등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한다 ... ...
알츠하이머병 일으키는 타우 단백질의 '양성 피드백' 발견
연합뉴스
l
2022.04.19
신경학 교수는 "NF-κB 신호 경로의 과잉 활성화를 억제하는 게 알츠하이머병과 다른 타우
매개
(tau-mediated) 신경 퇴행 질환을 치료하는 좋은 표적이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변형 타우 단백질이 정확히 어떻게 작용해 뇌의 뉴런이 손상되는지는 이번 연구 전까지 잘 알지 못했다. 간 ... ...
유전자 변형 모기 풀어 감염병
매개
개체수 줄이는 세계 첫 실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4.19
뎅기열이나 신생아 소두증을 유발하는 지카바이러스, 황열병과 같은 감염성 바이러스
매개
체로 유명하다. 과학자들은 모기 개체수를 줄여 바이러스 전파를 억제시키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왔다. 대표적인 방안이 유전자 변형 모기를 통해 개체수를 억제하는 것이다. 옥시텍이 개발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은 왜 향기 분자를 만들까
2022.04.19
견본을 하나 얻어야겠다. 향기 분자인 옥타날이 동맥경화로 이어지는 플라크 형성을
매개
한다는 뜻밖의 사실이 밝혀졌다. 나쁜 콜레스테롤(LDL)의 지방산이 산화돼 생긴 옥타날이 혈관 대식세포(vascular macrophage) 표면의 냄새수용체 OLFR2에 달라붙으면 일련의 염증반응이 활성화돼 동맥경화가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