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뉴스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2,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항공
청 27일 개청…윤영빈 청장 첫 출근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한국의
미국항공우주국
(NASA)으로 불리는 우주
항공
정부조직 '우주
항공
청'이 27일 개청했다. 윤영빈 우주
항공
청 청장을 비롯한 임직원들은 이날 오전 임시청사에 첫 출근해 근무를 시작한다. 우주
항공
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 자기장 시작점 기존 이론 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5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2010~2020년
미국
항공우주국
(NASA) 태양역학관측소(SDO)가 촬영한 약 150장의 태양 사진을 합성한 이미지가 실렸다. 태양의 흑점 주기를 따라 변화하는 태양 자기장을 포착한 모습이다. 21년만의 강력한 태양 폭풍 영향으로 최근 지구 곳곳에 화려한 오로라가 ... ...
미래 제약산업, 우주에 답 있다…보령·스페이스린텍도 '정조준'
과학동아
l
2024.05.25
컬럼비아호의 9번째 임무에서 이뤄졌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우주 환경을 다양한 분야의 기술에 활용하기 위해 컬럼비아호 화물칸에 '스페이스랩 1'이라는 우주 실험실을 장착했다. 이 실험실에서는 천문학, 우주생물학, 지구 관측 등 다양한 분야의 70개 이상의 실험을 수행했는데 단백질 결정 ... ...
불과 40광년 떨어진 거주 가능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천체물리학센터 등 공동 연구팀이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외계행성 탐사 위성 '테스'(TESS)를 이용해 적색왜성 글리제 12 주위를 12.8일에 한 바퀴씩 도는 외계행성 글리제 12b를 발견하고 영국 왕립천문학회 월보(MNRAS)에 23일(현지시간)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NASA와 유럽
우주국
(ESA) 위성의 ... ...
한국에도 오로라 내린 '태양폭풍' 비밀 400년만에 풀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수 있는 새로운 수치 시뮬레이션을 개발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태양 표면 근처의 가스와 플라즈마의 운동 패턴을 시뮬레이션 분석한 결과 태양 자기장의 근원지가 태양 표면 아래 약 2만 마일 지점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양 표면에 훨씬 가까운 곳에서 태양 ... ...
보잉 우주선 '스타라이너' 첫 유인 비행 내달 1일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목표였던 이달 6일보다 한달 가량 늦춰졌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은 22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스타라이너 유인 우주비행 계획을 계속 평가하고 있다"면서 "
미국
동부 표준시 기준으로 6월 1일 오후 12시 25분 스타라이너 발사를 목표로 준비 중이다"라고 밝혔다. 2, 5, 6일 중 하루 발사할 ... ...
유럽 최초 화성 로버에 '원자력 히터' 실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화성 탐사 로버 '로잘린드 프랭클린'과 관련해
미국
항공우주국
(NASA)과의 구체적인 협업 계획을 발표했다. ESA는 화성 탐사 임무를 위해 러시아
우주국
로스코스모스와 협력하고 있었지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2022년에 파트너십을 취소했다. 탐사 로버에 탑재될 예정인 방사성 ... ...
인종차별에 막힌 흑인 우주비행사의 꿈 63년 만에 이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0
의해 우주비행사 훈련을 받고 졸업까지 했지만
미국
항공우주국
(NASA) 우주비행사에 선발되지 못했다. 드와이트는 당시 자신이 차별받고 선발에서 탈락된 이유가 인종차별 때문일 수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20년이 지난 1983년이 되어서야 최초의 흑인 우주비행사가 탄생했다. 올해 90세인 ... ...
빛을 들여다 보면 별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5.18
변화하는지도 알 수 있었지요. 2022년 7월
미국항공우주국
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지구에서 1150광년 정도 떨어진 외계행성 WASP-96b의 스펙트럼을 관측했습니다. 과학자들이 스펙트럼 그래프에서 튀어나온 부분을 찾아내고 그 부분의 파장을 더 자세히 연구한 결과 이 행성에 물이 있다는 사실이 ... ...
'삼체' 문제 풀다 NASA 탐사선 궤도 계산하는 한국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5.17
알고리즘을 만들어 학계의 주목을 받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 한국인 연구원이 있다. 탐사선 궤도를 계산하는 고다영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연구원이다. 그의 연구결과는 지난 4월
미국
수학·과학 전문 매체 '콴타매거진'에 소개됐다. 서로 생소한 두 분야를 연결지어 이해의 지평선을 넓혔다는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