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판
시트메탈
뉴스
"
박막
"(으)로 총 47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과학도와 지역 인재에 도전과 희망 심어주는 작은 힘 됐으면"
동아사이언스
l
2021.04.30
박막
분야에 눈길이 갔다. 하지만 첨단 장비를 구할 수 없어 친척뻘 학문인 세라믹
박막
분야로 방향을 틀었다. 김 교수는 “연구에 필요한 증착 장비를 학생들과 처음부터 직접 하나하나 만들어 연구에 사용했다”고 말했다. 한동안 별다른 큰 성과는 없었지만 차근차근 연구를 쌓아온 그는 2001년 ... ...
포스텍 연구팀 메타물질 설계 소프트웨어 무료 배포
연합뉴스
l
2021.04.28
다양한 광 특성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메타물질을 이용한 초
박막
평면렌즈, 고해상도 홀로그램, 투명망토 등 새로운 광학기기를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전 세계적 관심을 받고 있다. 메타물질 설계에는 주로 유한차분 시간영역(FDTD, Finite-Difference Time-Domain method)에 기반한 ... ...
[랩큐멘터리]저전력 회로기술로 더 많은 센서 연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7
게 특징이다. 특히 외부의 전기에너지를 무선으로 받아들여 콘택트렌즈 내부의 초소형
박막
배터리를 충전하는 독립적인 시스템이 필요한 모든 기능을 하나의 집적회로 칩에 구현했다. 집적회로 설계는 새로운 학문은 아니다. 기존 집적회로 설계 연구성과들은 많지만 실제 다양한 분야에서 ... ...
실리콘 기판 위에 빠르게 그래핀 합성할 실마리 찾았다
연합뉴스
l
2021.04.21
'꿈의 신소재'로 불린다. 금속 기판 위에 메탄가스를 주입해 기판을 촉매로 그래핀
박막
을 성장시킨 뒤 분리하는 공정을 거치고 있다. 전자소자 위에 바로 그래핀을 합성하면 간단하지만,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IB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처럼 ... ...
고온에서 열 잘 감지하는 열영상 센서 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5
소자의 모습이다. KIST 제공 연구팀은 100도 이상에서도 잘 견디는 이산화바나듐
박막
을 이용해 소자를 제작했다. 이산화바나듐은 고온에서도 안정된 반도체 특성을 보여준다. 새로 개발된 소자는 100도에서도 상온과 비슷한 수준으로 적외선 신호를 얻었다. 한 달 이상 100도에 노출되도 성능이 변하지 ... ...
구리를 360가지 색으로 알록달록하게 만드는 법
과학동아
l
2021.04.09
이때 레이저 열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관건인데, 연구팀은 구리를 얇은 단결정
박막
형태로 만들어 손상을 최소화했다. 이영희 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장은 “구리를 산화시켜 투명한 p형 산화물 반도체로 활용하는 연구와 산화-식각을 이용해 전혀 다른 방식의 반도체 공정을 개발하는 ... ...
2차원 반도체 소재 결함 없앴다…단결정 대면적 합성법 개발
연합뉴스
l
2021.03.18
등 단일 소재는 물론 2가지 이상 소재를 접합한 이종접합구조나 화합물도 단결정
박막
합성이 가능함을 보여줬다. 이영희 연구단장은 "단결정 합성의 핵심 원리를 규명함으로써 2차원 소재 상용화의 초석을 놓았다"며 "고품질 2차원 반도체의 첨단소자 분야 응용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 ...
기계연, 세계 최고 수준 효율·안전성 가진 태양전지 개발
연합뉴스
l
2021.03.17
연구팀은 포름아미디니움 이온이 그 결함을 스스로 복구하도록 설계해 기존 단일
박막
구조 광흡수체보다 더 오래 성능을 유지하게 했다. 태양전지 광흡수체를 열 공정 없이 용액 공정만으로 만들 수 있는 이 기술을 활용하면 제조단가가 크게 절감된다. 실리콘보다 가볍고 유연한 ... ...
반도체 소부장 기업 위한 12인치 반도체 테스트 베드 서비스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청정실과 핵심장비를 구축하고 장비안정화 작업을 진행했다. 17일부터 소재 성능평가와
박막
및 패턴웨이퍼 제작, 성능평가 데이터 제공 등 서비스를 시작하게 됐다. 12인치 테스트베드는 소재 평가와 제작장비 등 10개 장비로 구성됐다. 핵심장비 중 하나는 불화아르곤 미세축소 투영시스템이다. ... ...
100번 세탁해도 끄덕없는 '스마트 섬유' 디스플레이 개발
연합뉴스
l
2021.03.11
인간이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장치는 최근 몇 년간 급속히 발전해 왔으며, 초
박막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전자장치를 옷에 결합하는 기술은 이미 개발된 상태다. 그러나 대부분이 빛을 발산하는 고체형 얇은 장치를 직물에 부착하거나 직물과 같이 짜는 방식이어서 통기성이나 유연성,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