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식
생식
개량
부양
사양
돌보기
배양
뉴스
"
사육
"(으)로 총 340건 검색되었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AI) 국제 공동연구로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괴산 소수면에 위치한 오리
사육
농가에서 조류독감 의심 신고가 접수돼 관계자들이 오리를 땅에 묻고 있다. - 동아사이언스 제공 조류인플루엔자(AI) 유입을 사전에 예측하고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중국, 몽골, 러시아 등과 6년 동안 120억 원 규모의 대형 국제 공동연구가 추진된다. 아시아 각국 ... ...
인간에게 달려드는 사자 ‘깜짝’
팝뉴스
l
2018.05.28
순간일까. 사람이 사자에게 희생되는 순간을 포착한 것 같지만 다행히 아니다. 사자는 한
사육
사를 향해 ‘사랑’을 표현하고 있다. 어느 곳이 배경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는데, 사자는 오랜만에 만난 사람을 껴안고 핥았을 뿐이다. 사진은 페이스북 등에서 화제인데, 네티즌들은 사자의 힘이 ... ...
[표지로읽는 과학] 야생‘馬’는 언제 사람에게 길들여졌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07
연구팀은 초기 청동기 시대때인 약 4000년 전에는 북카자흐스탄 지역에서 완전히
사육
화된 말이 처음 등장했으며, 이때부터 현대적인 종들이 각 지역별로 급속도로 늘어났을 것으로 추정했다. 가우니츠 박사는 논문에서 “카자흐스탄 지역의 사람들이 사냥을 하거나 젖을 얻기 위해 야생 ... ...
[사이언스 지식IN] 돼지에서 첫 발생 A형 구제역...소 백신 써도 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3.28
건가요? 농식품부는 “우선 소에게 사용하기 위해 확보해둔 ‘A+O형’ 백신을 대규모
사육
지인 경기도와 충남 지역 돼지 440만 마리에게 접종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같은 우제류 사이에 공유하는 표면단백질을 표적으로 백신을 생산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을 겁니다. 하지만 이번에 나온 ... ...
[동화작가, 남극에 가다 ④] 금단의 땅, 남극특별보호구역을 가다
2018.02.07
알 수 있었다. 동물원에 다녀온 얼마 뒤 뉴스에서 딸과 함께 간 동물원에 있던 호랑이가
사육
사를 물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사고를 냈다는 호랑이가 그 때 으르렁거리던 그 호랑이 인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초점이 없던 로랜드 고릴라의 커다란 눈망울과 같은 자리를 맴돌던 사슴의 모습이 계속 ... ...
중국, 세계 첫 영장류 복제 성공…신약 개발·뇌 연구 앞당길 듯
동아사이언스
l
2018.01.25
올해 3월경부터
사육
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국가영장류센터에서
사육
중인 140마리에 올해 500마리가 추가 수입한다. 2022년까지 수입과 자체 생산으로 3000마리까지 확보한다는 목표다. 김선욱 생명연 미래형동물자원센터장은 “한국도 장기적으로는 자원 확보 차원에서 영장류 복제 연구도 ... ...
최후의 야생본능 ‘회색늑대’는 어떻게 진돗개가 됐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1.24
발견된 화석을 비교했지만 그 형태를 명확히 구분짓는데는 실패했다. 대신 초기
사육
화 단계에서 늑대가 개가 되는 과정에서 머리형태의 변화와 턱의 형태 변화가 동시에 일어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드레이크 교수는 “개과 동물의 진화가 형태학적으로 요인이 다양한 것으로 ... ...
디즈니 주인공이 2017년에 살았다면
팝뉴스
l
2018.01.05
때문이다. 덤보는 죽임을 당한 동료 코끼리들의 상아를 불태운다. 모글리의 친구 곰은
사육
을 당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또 지니와 알라딘은 가사 일은 거들떠 보지 않고 게임을 즐길 수도 있을 것이다. 우울한 상상만 있는 것은 아니다. 피노키오는 2017년에 적응을 잘할 캐릭터다. 피노키오에게는 ... ...
2018년 황금 개의 해 아닌 황금 늑대의 해일 수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5
간신히 구분할 정도로 교잡이 자유롭다. 개와 늑대 교잡종을 ‘늑대개’라고 부르며
사육
할 수 있을 정도다. 현생 동물조차 구분이 어려운 만큼 개의 기원을 찾는 일도 쉽지 않다. 정설은 3만3000~3만6000년 전 공통 조상에서 개와 늑대가 분리됐다는 설이다. 2013년 러시아 알타이 산맥에 있는 동굴에서 ... ...
바이오인공장기ㅣ“의사선생님, 제 장기는 새 것으로 교체해 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2.06
접촉하지 않은 야생형 무균돼지를 길러야 한다. 이 때문에 여러 연구팀이 무균돼지
사육
시설을 마련해 이종장기이식 시험에 사용하고 있다. 박정규 서울대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장(현 서울대 미생물학교실 교수)은 “사람이든 동물이든 자궁 내에서는 균이 없다”며 “산도를 통해 외부로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