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459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핀으로 뇌종양 위치 정확히 잡아낸다…첫 임상시험 임박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그래핀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차세대 신소재로 주목받는 그래핀을 뇌종양 수술에서 암세포를 찾는 데 사용하는 첫 임상시험이 영 ... 또 그래핀 기반 전기 칩이 뇌전증이나 뇌졸중 환자의 뇌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전기
신호
를 감지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 ...
산불의 계절 11월…위험 예측, 진압 기술 고도화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진화탄은 소화기의 주성분인 제1인산암모늄을 고압의 가스로 발생된 압력과 전기
신호
를 통해 압력분사하는 방식으로 불을 끈다. 헬기와 같은 대형장비가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 다가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장미나 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임업연구사는 "최근에는 드론에 탑재된 ... ...
우주 240억km 날아가다 잠든 '보이저 1호' 깨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03
S-밴드 송신기 두 종류가 있다. S-밴드 송신기는 X-밴드 송신기보다 전력을 덜 사용하지만
신호
가 더 약하다. X-밴드 송신기는 고주파수로 정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1981년 이후 43년간 S-밴드 송신기는 한 번도 사용되지 않았다. NASA는 10월 22일에 명령을 보내 S-밴드 송신기가 작동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이 쉽게 부러지는 이유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11.03
매우 불안정하게 연결됐기 때문이다. 안정적이지 않은 구조의 식물 세포들이 서로
신호
를 주고받으며 식물의 형태를 유지하고 생장하는 메커니즘은 학계의 주된 연구 주제 중 하나였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 주 표지로 식물을 구성하는 세포가 서로 연결된 이미지를 실었다. 두 개의 ... ...
코앞으로 다가온 美 대선…트럼프 지지 뇌는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24.11.02
0.068이었죠. "검증 연구에서 연구 규모를 늘렸는데 효과 크기가 줄어들면 좋지 않은
신호
입니다." 함께 연구 결과를 살펴본 김학진 고려대 심리학부 교수는 '효과 크기 감소' 현상을 지적했습니다. 페탈라스 연구팀은 총 928명의 뇌를 분석했는데 이는 카나이 연구팀 실험군(90명)의 10배가 넘습니다. ... ...
[현실이 된 영화 속 과학] ⑤의식의 기원을 탐구하는 노력…'공각기동대:고스트 인 더 쉘(2017)'
동아사이언스
l
2024.11.01
변화가 일어나는지 관찰했다. 분석 결과 실험 참가자들이 특정한 판단을 내릴 때 뇌의
신호
는 감각처리 기능이 모여 있는 뇌 뒤쪽의 후측피질에서 강하게 발생했다. 인간이 의식의 기능을 사용할 때 주관적 경험으로 비롯된 결과물이 처리하는 뇌 활동이 활발해진 것으로 IIT를 지지하는 결과였다. ... ...
"나노유연소자로 패치 만들어 부정맥 환자 치료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부정확하다는 것이다. 그는 "반창고처럼 패치 타입의 장치를 만들 수 있으면 (몸의)
신호
를 훨씬 깨끗하게 얻어낼 수 있고 피·땀을 분석하면 화학적으로도 분석할 수 있다"며 "중요한 건 소재"라고 말했다. 센서를 이루는 소자가 딱딱하지 않고 부드러워야 한다는 것이다. 의료용 유연 소자를 ... ...
ETRI, 최첨단 지능형 사물인터넷 기술 선보여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지원하는 기술이다. 에너지관리시스템 적용 확대를 위한 인공지능(AI) 학습 및 다중
신호
융합, AI형 복합센서 기술도 공개한다. 재난안전 분야에서는 광센서를 통해 에어로졸(미세입자)을 신속하게 감지, AI를 활용해 화재와 비화재를 구분하는 오경보 방지 AI 화재 센서 기술을 공개한다. ... ...
[과기원NOW] UNIST 이규호 교수팀, 제25회 반도체설계대전 국무총리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30
석·박사 과정을 밟으며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잡음 제거, 음성인식 등 음성과 오디오
신호
처리 분야를 연구했다. 이 박사는 "GIST에서 배우고 익힌 경험을 바탕으로 실용적 연구에 집중하는 한편 도전 정신을 갖춘 과학 인재 배출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 포스텍은 정대성 화학공학과 교수팀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로마테라피가 과학일까
2024.10.30
분비하면 가까이 있는 뇌섬염 글루타메이트성 뉴런의 활성을 억제한다. 바로 통증
신호
를 전달에 관여하는 뉴런이다. 그 결과 통증에 둔감해진 것이다. 이번 실험으로 정유의 향기 성분(분자)이 비후각적으로 직접 작용하는 게 아니라 후각을 통해 작용하면서도 뇌의 통증 관련 뉴런에 영향을 미쳐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