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교
포교
역전
반전
전환
가망
선불
뉴스
"
전도
"(으)로 총 77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미리 가 본 과학관 소감작성 챌린지' 이벤트 진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7.18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을 기념하는 ‘누리호 3차 발사 기념전’등 3개의 특별 전시
전도
관람할 수 있다. 과학 주제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자세한 정보는 국립과천과학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체온으로 센서 구동한다...에너지 하베스터 3D프린팅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7.16
확보할 수 있는 소자다. 연구팀은 열전소자 내 온도 차이를 극대화하기 위해 열
전도
도가 낮고 유연성과 신축성이 큰 실리콘계 엘라스토머 소재로 소프트 절연 플랫폼을 제작했다. 또 탄소나노튜브(CNT) 잉크를 용매에 균일하게 분산해 점도를 최적화한 잉크를 만들었다. 3차원 소프트 절연 ... ...
전기차 화재 예방 실마리 찾았다...난연성 전해액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7.10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선형 유기카보네이트인 DEC 분자에 인화점을 높이고 이온
전도
도를 강화한 전해액 BMEC를 개발했다. 이 용액의 인화점은 기존 DEC보다 90도 올라간 121도다. BMEC는 고온 노출 시 기존 전해액 대비 가연성 기체 발생이 37%, 발연이 62% 감소했다. 시간당 1암페어(Ah)급 ... ...
전자빔 조사해 안전한 배터리 ‘한 번에 대량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23.07.04
차세대 이차전지인 전고체 배터리는 전해질이 고체이기 때문에 안전성은 높으나 이온
전도
도가 낮아 효율성이 떨어진다. 비싼 가격 때문에 상용화 전망도 아직 불투명하다. 액체와 고체 사이의 반고체 배터리는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반고체와 같은 겔 타입의 ... ...
6시간 세탁해도 끄떡없는 플렉시블 OLED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28
OLED에는 맥신 소재가 활용됐다. 맥신 소재는 높은 전기
전도
도와 투과도로 매력적인
전도
소재였지만 수분이나 물에 쉽게 손상되는 특성 때문에 상용화되지 못했다. 최경철 교수 연구팀은 수분이나 산소에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캡슐레이션’ 전략을 통해 견고한 고수명 맥신기반 ... ...
이온 물질로 수소연료전지 효율 높인다…"높은
전도
성과 내구성 동시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3.06.22
것을 확인함으로써 높은 내구성까지 확보했다. 나명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높은
전도
성의 수소이온 물질을 개발에 있어 강산성 물질에 안정적인 MOF를 사용해야 하는 제한을 없애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며 "이밖에 양쪽성 이온인 설파믹산을 이용한 연구가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될 ... ...
국내 연구진, 신체에 안정적으로 부착 가능한 하이드로겔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6.20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연구팀은 개발된 하이드로겔을 통해 수중에서도 효과적으로 근
전도
신호를 검출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방광의 실시간 액체 주입 및 배출을 모니터링할 수 있음을 보였다. 서정목 교수는 “본 연구 결과는 하이드로겔 소재가 우리 몸에 안정적으로 부착돼 동작할 수 ... ...
화재위험 낮은 전고체 전지 상용화 이끌 전해질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6.06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연구팀은 높은 리튬이온
전도
도, 분리막 기능, 낮은 전기
전도
도 등 조건을 충족하면서 대량 합성이 가능한 재료를 탐색, 파장 범위가 1mm에서 1m 사이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습식공정을 개발했다. 마이크로파 합성공정을 활용하면 고순도 고체 전해질 생산이 가능하다. ... ...
[과기원은 지금] 이상엽 KAIST 특훈교수, 노보자임 화학 및 바이오공학분야 세계적 리더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6.05
증가시켜 산업적으로 널리 활용하는 데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전기
전도
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 제어를 통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ACS나노'에 지난 15일 온라인 공개됐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반도체 소자 내 과열 해결방법 제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19
연구팀은 반경이 약 3cm인 100나노미터 두께의 티타늄 박막에서 발생하는 표면파에 의해 열
전도
도가 약 25% 증가함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지난달 26일 온라인 게재됐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현욱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리튬 금속 음극 소재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