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초록색"(으)로 총 308건 검색되었습니다.
- 크리스마스 트리의 고향은 제주?!동아사이언스 l2017.12.21
- 트리를 볼 수 있다. 흔히 볼 수 있는 인조 크리스마스 트리는 바늘처럼 가느다란 짙은 초록색 잎이 빽빽이 나 있는 원뿔 모양의 나무다. 이런 크리스마스 트리의 실제 모델은 놀랍게도 우리나라 한라산이 고향인 ‘구상나무’다. 실제 구상나무는 세계적으로 크리스마스 트리로 가장 많이 쓰이는 ... ...
- 배터리 없이 전기뱀장어처럼 전기 일으킨다동아사이언스 l2017.12.14
- 1m) 수준이다. 고농도 소금물(빨간색)과 저농도 소금물(파란색) 사이의 양이온 친화 겔(초록색)과 음이온 친화 겔(노란색)을 통해 나트륨 이온(Na+)과 염소 이온(Cl-)이 선택적으로 이동하면서 전하의 흐름(전류)이 생겼다. - 네이처 제공 그 결과 양이온 친화 겔을 사이에 둔 지점에서는 고농도 용액에서 ... ...
- 반짝반짝 빛나는 조명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12.13
- 내는 반응이 바로 화학 발광이에요. 몸속의 ‘루시페린’이라는 단백질이 산소와 만나서 초록색의 빛을 낸답니다. GIB 제공 실험 방법 조명을 만들어 보자! ※ 실험할 때는 꼭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안전에 유의하세요! 의 독자들이 조명을 만들고 싶은 섭섭박사님을 위해 여러 ... ...
- 선비? 과학자?...창 열면 풍기는 매화 향 과학으로 재현동아사이언스 l2017.12.12
- 교수가 정말 만들고 싶었던 향은 녹악매 향이다. “녹악매는 추운 날씨에도 흰 꽃잎가 초록색 잎을 보여주기 때문에 옛 선비들이 가장 사랑한 매화였어요. 향도 선비를 닮았습니다. 강렬한 첫 인상은 없지만 은은한 중간 꽃향기가 오래 도록 남아요.” 피 교수는 녹악매 향에 먹 향을 추가한 ... ...
- 레고로 코딩 배운다!...레고 부스트 체험기2017.11.27
- 이 센서는 빛과 거리를 읽을 수 있습니다. 10단계로 거리를 구분하고, 빨간색, 파란색, 초록색 등 색깔을 구분하기도 합니다. 소리에도 반응합니다. 레고에 눈과 귀를 달아주는 셈입니다. 최호섭 제공 이 센서와 모터, 허브를 레고에 붙이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혹은 PC와 블루투스로 연결해 블록 ... ...
- 뱀을 잡아 먹는 개구리 ‘화제’팝뉴스 l2017.11.25
- 제공 초록색 개구리가 바쁘다. 사람이 다가와 촬영하는데도 도망칠 마음이 없이 식사에 집중하고 있다. 개구리가 먹는 것은 뱀이다. 아직 어린 비단뱀이라고 한다. 야금야금 식사를 하는 동안 뱀의 길이는 점점 짧아진다. 호주에서 촬영된 것으로 알려진 영상 속 개구리는 ‘호주 초록 나무 ... ...
- 네이처, 희귀 피부병 치료 위한 줄기세포 이식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7.11.09
- 세포를 이식하는 수술을 진행했다. 환자의 몸 중 빨간색 영역은 피부가 벗겨진 곳이며, 초록색 영역은 물집이 잡힌 곳으로 JEB로 망가진 피부가 몸 전체 피부 표면의 80%에 달했다. - Ruhr University 제공 상피세포가 재생하는 데 걸리는 기간인 20개월이다. 수술뒤 상피세포의 재생기간보다 긴 2 ... ...
- 할로윈 마스코트 나야 나! 별별 호박 대전동아사이언스 l2017.10.31
- 부르는데, 손가락 열 개가 붙어 있는 모습이라는 뜻이다. 흰색, 노란색, 주황색, 초록색 등 다양한 색이 있다. 터번와 마찬가지로 관상용 호박이다. 굽은목 호박 - GIB 제공 굽은목 호박 (Crookneck squash) 목이 길쭉하고 굽었다고 해서 굽은목 호박이라고 부른다. 굽은목 호박은 색과 모양에 따라 ... ...
- 영화 ‘유리정원’ 처럼 사람에게 엽록체 이식할 수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7.10.27
- 나뭇잎과 비슷한 외형을 가진 푸른민달팽이는 본래 투명한 피부로 태어나지만 자라면서 초록색이 된다. 플랑크톤을 몸속에 수개월 동안 살려둔 채 광합성을 하기 때문이다. 연구를 주도한 시드니 피어스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 교수는 “푸른민달팽이가 유전자를 받을 뿐만 아니라, 받은 ... ...
- 브라질, 흰개미 탑과 야광 벌레와 개미핥기팝뉴스 l2017.10.23
- 애벌레들. 자연광을 내면서 날아다니는 흰개미를 유혹한다. 잡아먹기 위해서다. 한편 초록색 거대한 덩치의 동물도 보인다. 바로 개미핥기이다. 시력은 약하지만 후각이 발달해있고 혀도 길고 아주 끈끈해 개미굴에서 개미를 끄집어내 잡아먹기에 좋다. 아름다우면서도 치열한 생존 현장을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