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타게트
타켓
타킷
타겟
타케트
대상
표적
뉴스
"
타깃
"(으)로 총 356건 검색되었습니다.
염기 하나 콕 집어 바꾼다…아데닌 염기교정 유전자가위 새 기능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연구팀이 2017년 개발한 기술로, 염기 하나를 다른 염기로 바꿀 수 있다. 지금까지는
타깃
이 되는 DNA 염기서열에서 아데닌을 구아닌으로 바꾸는 작용만 알려져 있었다. 이 유전자가위는 'DNA의 한쪽 사슬을 자르는 효소(nCas9)'와 아데닌 염기를 분해하는 '탈아미노효소'로 구성돼 있다. 그런데 ... ...
장내미생물의 또 다른 능력…알츠하이머 치매 늦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알츠하이머 치매 신약 개발은 대부분 비정상적인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을
타깃
으로 하고 있는데 난항 중"이라며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장내미생물-혈류-뇌 관계를 이용한 새로운 치료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화학硏 차세대 면역항암제 CAR-T 기술 앱타이론바이오에 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9.06
앱타이론바이오는 9월 5일(목) 대전컨벤션센터에서 ‘면역관문항원
타깃
첨단 CAR-T세포 치료제’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협약을 체결했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한국화학연구원이 차세대 항암 면역세포치료제 기술로 꼽히는 ‘키메라항원수용체(CAR)-T세포치료제’ 기술을 개발해 국내 바이오신약 ... ...
[프리미엄 리포트] 부르키나파소는 왜 GM모기 방사를 결정했나
과학동아
l
2019.08.17
GM 모기를 방사하는 계획을 검토 중이다. ●
타깃
말라리아의 GM 모기 전략
타깃
말라리아는 아프리카에서 말리리아를 매개하는 모기(Anopheles gambiae)를 퇴치하기 위해 ‘유전자 드라이브(gene drive)’ 방식을 이용했다. 유전자 드라이브는 유전자 변형 기술 중 하나로, 특정 유전자를 개체에 삽입한 ... ...
난치성 뇌전증 진단 정확도 30%에서 100%로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타깃
유전자 복제 염기서열 분석법을
타깃
유전자 8개에 적용한 결과 연구팀은 난치성 뇌전증 진단 정확도를 50%에서 최대 100%까지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특히 임상에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뇌 조직 절편만으로도 정확도가 100%에 가까운 ... ...
바이러스 단백질이 자궁경부암 유발하는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작용 원리를 밝혀냈다"며 "이 연구결과를 활용해 자궁경부암과 두경부암을 치료하는
타깃
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금까지는 HPV의 E7 단백질이 E6 단백질과 함께 체내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단백질과 세포주기를 억제하는 단백질을 방해해 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 ...
[이정아의 닥터스] "가습기살균제 참사는 현재진행형…폐손상 바이오마커 찾는 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전 과정에 걸쳐 관여하는 물질들이 가습기살균제로 인한 폐 손상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타깃
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가습기살균제로 병원을 찾은 환자들은 대부분 호흡곤란이나 폐렴, 통증 등 증상을 자각했다. 하지만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했어도 별다른 증상이 없는 사람도 많다. ... ...
유전자 시너지 결과 알 수 있는 '유전자 상호작용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아주 기초적 수준에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나아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타깃
을 발굴하는 데에도 유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와이즈만 교수팀은 이 지도의 데이터를 이용해 유전자간 상호작용을 실험 없이도 예측할 수 있는 머신러닝 알고리즘도 개발했다. 앞으로 훨씬 구체적인 ... ...
골수에서 태어난 조혈모세포 이동 과정 규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6
국내 연구팀이 조혈모세포의 이동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찾아 골수암을 치료하는 신약
타깃
을 발굴했다. 골수에서 만들어지는 조혈모세포는 말초로 이동하면서 적혈구와 백혈구 등 여러 면역세포와 혈소판으로 분화한다. 전태훈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조혈모세포가 골수에서 말초로 ... ...
“유전자 교정 아기, 건강 문제 계속 살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8.02
저항성을 지니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하나는 널리 알려진 크리스퍼의 표적이탈(오프
타깃
) 효과도 있다. 크리스퍼는 놀라운 정밀도도 정확히 원하는 부위를 자를 수 있는 유전자가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원하는 표적 외의 다른 부위를 끊는 표적이탈이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이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