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절
절
귀절
말마디
글귀
문구
공
스페셜
"
구
"(으)로 총 24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개발의 뉴웨이브] "실패해도 걱정마" 기업의 도전 전폭 지원하는 이스라엘(하)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이스라엘 스페이스IL의 달 착륙 시도는 지금까지 정부 주도로 달 착륙에 성공한
구
소련과 미국, 중국과는 달랐다. 비록 1차시도는 실패했지만 베레시트 미션은 근본적으로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투자자들도 기꺼이 실패를 받아들인다는 반응이다. 향후 저렴한 비용으로 민간도 달 탐사에 ... ...
[Science토크] 우주를 향한 ‘골드러시’…과학자들 “태양계를 국립공원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9.05.25
향후 40년 이내에 이뤄질 태양계 탐사를 통해 알아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
구
진은 “전세계에서 행성 탐사 미션을 위한 발사가 10년에 15차례 이뤄졌다”며 “이 속도라면 태양계 전체 채굴 가능한 천체 중 200군데 정도를 한번씩 탐사하는 데 약 130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 ...
'이름만이라도' 화성行 선택한 335만명…북한도 347명 신청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나타낸 디지털 패치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했다. 신청자의 이름은 NASA 제트추진연
구
소가 일일이 전자 빔으로 실리콘 칩에 새겨 화성으로 보낼 예정이다. 글자 선의 굵기는 머리카락의 1000분의 1 굵기 수준인 75나노미터(㎚, 10억분의 1m)다. 작은 동전 크기의 칩 하나에 100만 명 이상의 이름을 ... ...
탐사선 ‘창어 4호’ 첫 연
구
성과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측정, 특정 광물 탐사를 할 수 있다”며 “에이킨 분지 탐사 데이터를 종합 분석하면 충돌
구
가 생겼을 당시 상황을 추정하고 달의 기원을 좀 더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데이터를 얻게 된다”고 밝혔다 ... ...
“이것이 인간이 처음 소행성 표면에 만든 인공 크레이터”
동아사이언스
l
2019.04.27
일본의 무인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가 금속 물체를 뽀아 만든 인공 충돌
구
(크레이터). 크기는 약 20m로, 하야부사2는 나중에 충돌로 나온 지하 물질을 채취해 ... 2차로 표면 시료를 채취할 수도 있다. 이온엔진을 점화해 지
구
로 향하게 한 뒤 캡슐을 지
구
에 재진입시키면 임무가 끝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계 기원 간직한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일본우주항공연
구
개발기
구
(JAXA)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9일 우주 머나먼 곳에 있는 거대한 돌덩이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표지에 실 ... 뭉쳤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소행성의 표면 색상은 소행성 전체적으로 비슷한데, 이는 류
구
를 이루고 있는 물질이 균일할 가능성이 크다는 증거다 ... ...
"스페이스IL 실패했지만 더 싸고 빠른 우주탐사 모색한 가치있는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이스라엘 스페이스IL의 달 착륙 시도는 지금까지 정부 주도로 달 착륙에 성공한 러시아(
구
소련)와 미국, 중국 등과는 달랐다. 약 1억달러(약 1140억원)의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게 달 탐사선을 개발해 미션에 돌입했다는 분석이다. 베레시트 미션은 근본적으로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비용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게임체인저가 될 '입자'로봇의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3.23
결합하는 세포로 이뤄진 유기체다”며 “로봇이 세포화된다면 여러 작업에서 요
구
되는 최상의 모양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세계 최초로 개발된 '입자' 로봇의 모습은 아래 동영상에서 볼 수 있다. 유튜브 주소: https://youtu.be/wrDdqjQvaoA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침을 든든히 먹으면 정말 살이 빠질까
2019.03.12
않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
구
소에서 연
구
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7권),《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가 ... ...
AI, 원전 안전을 부탁해!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재해 상황에서도 사고 이후 상황을 예측해 최적의 대처 시나리오를 마련하는 방안을 연
구
하고 있다”며 “중요한 선택을 빠르게 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