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량
브리지
육교
leg
브릿지
넓적다리
대퇴
스페셜
"
다리
"(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결과였다. 연구자들은 유전자 사냥에 뛰어들었고 이 유전자가 7번 염색체의 짧은
다리
쪽에 있다는 결과를 1998년 학술지 ‘네이처 유전학’에 발표했다. 그리고 3년 뒤 마침내 유전자의 실체를 밝혀 학술지 ‘네이처’에 실었다. FOXP2라는 이름의 이 유전자는 아미노산 715개로 이뤄진 꽤 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앓고 있는 늙은 암소도 나오고 난산으로 빠져나온 자궁을 제자리에 넣는 수술을 하고
다리
가 부러진 소를 치료하는 장면도 있는 걸 보면(즉 도축을 안 했다),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하면서도 ‘설마 개처럼 반려동물로 소를 키우는 건가?’라는 의문이 들었다. 영국 농부 로저먼드 영은 최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많을 것이다. 가전제품처럼 의수도 수년 내 가격이 뚝 떨어지고 국가도 힘을 보태 팔이나
다리
를 잃은 사람들이 환상사지의 고통에서 벗어나 물리적으로 실재하는 진짜 같은 사지로 삶의 활력을 되찾기 바란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미리보는 남북공동회담, 판문점 24시 타임라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소나무를 함께 심는다. 공동식수를 마치고 나면 군사분계선 표식물이 있는 '도보
다리
'까지 친교 산책을 하면서 담소를 나눌 예정이다. 산책 시간은 '번외 정상회담'으로도 풀이된다. 이후 평화의집으로 돌아와 오후 회담을 이어간다. 정상회담을 모두 마치게 되면 합의문 서명과 발표가 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
2018.02.13
있는 것으로 보이니 신기할 따름이다. 초파리는 혀가 없고 대신 주둥이끝(labellum)이나
다리
의 털(sensilla)로 맛을 감지한다. 지난 2013년 주둥이끝의 뉴런에 있는 IR76b라는 나트륨 이온 통로 단백질이 저농도의 기분좋은 짠맛을 감지하는 수용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최근 한미 공동 연구자들은 IR76b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모를 일이라는 표정이다. 얼마 뒤 전쟁이 나 동네 젊은이들이 징집돼 대부분 전사했는데
다리
를 못 쓰는 노인의 아들은 제외돼 살아남았다. 새옹지마는 지금 안 좋은 일이라도 반전이 일어날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말라는 측면이 강하다(아무튼 해피엔딩으로 끝나므로). 그런데 실제로 일어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불량품일 경우 네 개 모두를 정품으로 집어야(1/16 확률) 제대로 된 의자가 나온다.
다리
한두 개(각각 ¼, ⅜ 확률)가 불량품이면 어떻게 앉을 수는 있을지 몰라도 영 불편할 것이다(효율이 낮은 효소). Aldh2 변이형이 하나라도 알데히드 분해 능력이 50%가 아니라 17%인 이유다. 따라서 이런 사람이 매일 ... ...
독일 소년은 어떻게 희귀 피부병을 고쳤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50~150㎠의 대면적으로 배양했다. 이후 독일 루르대 연구진이 3번의 수술로 소년의 팔,
다리
, 허리 그리고 가슴에 새로운 피부를 이식했다. 수술 뒤 21개월에 거친 추적검사를 통해 소년의 피부는 80% 가량 정상인의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명됐다. 암이나 이식 부작용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번 ... ...
지퍼가 열리니, 부도체 물질이 반도체로!
동아사이언스
l
2017.08.06
계속 가할수록 색은 점점 진해져 120분 뒤에서 완전히 검은색으로 변했다. 이때 사
다리
의 발판은 모두 끊어져 선 형태의 고분자가 제작된다. 최종적으로 부도체의 특성을 갖던 폴리레더린은 반도체의 성질을 갖는 나노선이 됐다. 양 교수는 “연구진이 재료로 사용한 레더린의 구조는 DNA의 이중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손(또는 팔)이라고 불러야 할지 애매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티라노사우루스의 작은 앞
다리
는 걷는데 전혀 기여를 하지 않으므로 팔이라고 불러야하지 않을까. 다람쥐는 도토리를 ‘양 앞발’로 쥐고 있는 것일까 ‘양 손’으로 쥐고 있는 것일까. 모든 동물에서 사지의 뒤쪽 한 쌍은 걷는 게 주된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