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혼란
혼잡
잡담
분류
혼란복잡 구문
복잡한 사물
분규
스페셜
"
복잡
"(으)로 총 919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RNA 치료제의 부상과 우연한 인본주의
2021.12.16
빠르게 단일 유전자의 변이로 발생하는 모든 암의 치료제를 개발하려 들 것이다. 원인이
복잡
하고 복합 유전자에 의해 발생하는 암의 경우, RNA 기반 치료제의 표적으로 선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모두 시장의 논리 때문이다. RNA 기반 치료제는 지난 반세기 동안 여러 보통과학자들의 기여로 ... ...
[인간·공감·AI]미생물 세계의
복잡
한 퍼즐 AI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이선재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인간의 미생물 유전체를 뜻하는 마이크로바이옴을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중이다. 연구원들이 마이크롬바이오 분석을 통해 나온 미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확인하고 있다. 남윤중 제공 미국 정보기술(IT)기업 IBM은 올해 초 인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기장의 재발견
2021.12.14
년에야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실렸다. 주요 작물이 아닌데다 게놈 구조도
복잡
한 편이라 뒤로 밀린 것 같다. 유채처럼 기장은 이질사배체 식물이다. 각각 기본염색체(x) 9개로 이뤄진 이배체(2n=2x=18) 식물 두 종 사이에서 생겨난 잡종에서 전체게놈복제가 일어난 결과다(2n=4x=36).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레이더 군집위성·AI, 위기를 예측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7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에서 발표하고 있다. 김민수 기자 슈마코프 디렉터에 이어 ‘
복잡
한 환경에서 위험을 조기 예측하는 AI’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 안젤라 틸 슬링샷에어로스페이스 사업개발 및 기술 프로그램 매니저는 “우주발사체가 다양해지고 위성 발사가 늘어나면서 지구궤도에서 우주 ... ...
[과학게시판] 윤태현 UNIST 인공지능대학원 석사과정생, '뉴립스' 주최 경진대회 학생 1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07
프라이멀 태스크 부문 학생 1위, 세계 2위를 차지했다고 6일 밝혔다. 대회는 계산
복잡
도가 높은 조합최적화 문제를 푸는 프로그램의 성능을 기계학습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전 세계 기업과 연구소 50개 팀이 참여했다. 이중 학생팀은 23개였다. ■ 국립어린이과학관은 네이버의 메타버스 플랫폼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스타트렉보다 환상적이고 스타워즈보다 긍정적인 인류 미래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6
‘투명성’을 높여줄 것이라 내다봤다. 골드 부사장은 “우주 개발은 매우 어렵고
복잡
한 분야이기에 협력 중에 오해가 생길 수 밖에 없다”며 “투명할수록 분쟁이 줄어들며 평화가 유지될 것이며 다양성은 투명성을 높이는 강력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골드 부사장은 이날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고전역학에서 양자역학으로
2021.11.25
튕겨 나오는 X선의 파장에 따른 세기를 X선의 산란각도에 따라 측정했다. 이 현상 자체는
복잡
하지 않다. X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로서 흑연 속의 전자와 충돌해 튕겨 나간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튕겨 나간 X선의 파장이 길어졌는데 그 양상이 고전적인 전자기파 이론으로는 ... ...
동물의 수가 ‘–10마리’? 생명과학Ⅱ 20번 문제 오류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1.11.21
부모의 형질이 우성이어도 자손은 열성 유전자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다소
복잡
한 계산이 필요해 수능에서는 난도 높은 문제로 출제되는 경우가 많다. 2022학년도 수능에서는 20번 문항으로 출제됐다. 문제에서는 두 개의 동물 집단이 몸 색깔과 날개 길이를 결정하는 유전자를 갖고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혁신의 그늘과 인류애의 폭력 사이에서
2021.11.18
마음껏 활용할 수 없다. 수많은 개인과 기업, 정부가 백신의 개발과 사용의 이해 관계에
복잡
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코로나19 mRNA 백신과 관련된 특허만 691건이 넘고, 기술이 아니라 특허야말로 한국이 mRNA 백신 개발에 진입할 수 있는 진입장벽의 모든 것이라 해도 과언이 ... ...
[랩큐멘터리] 버려지는 열로 전기와 수소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7
열전소자와 다르다. 자성물질 내 스핀 전류를 활용하는 방식이다. 기존 열전소자 구조는
복잡
하고 공정이 번거롭다. 스핀 전류를 활용한 열전소자는 단순한 구조에 면적이 커지면 생성되는 전기에너지 양이 늘어나는 간단한 원리로 차세대 열전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자성물질을 활용한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