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지하"(으)로 총 2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일본 친환경 선박용 LNG 연료전지의 연구현장에 가다동아사이언스 l2016.03.04
- 해상기술안전연구소(NMRI)로 가는 길은 만만치 않았다. 도쿄 신주쿠 역에서 20분가량을 지하철로 이동해 미타카 역에 내린 뒤 다시 20분간 버스를 타고 쿄린대학병원까지 가서 10분 정도를 더 걸어가야 겨우 정문이 보였다. 어렵게 찾아간 연구소는 말 그대로 철통 같은 보안을 하고 있었다. 홍보 ... ...
- 양자전송의 원조를 보여준 영화 '스타게이트(Stargate, 1994)'IBS l2015.12.30
- ” 그렇게 소 연구위원은 암흑물질과 희귀 붕괴현상 관련 연구를 접하게 됐으며 IBS 지하실험연구단까지 오게 됐다. 현재는 ‘자기 양자 센서’와 ‘섬광 결정 검출기’를 연구하고 있다. “당시까지는 국내에 이중베타붕괴를 연구하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아무도 하지 않는 분야에 첫발을 딛는다는 ... ...
- 귀족 생선 자바리, 이제는 기른다 동아사이언스 l2015.12.17
- 채취해 온도, 염분, 용존산소량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외해 양식에서는 일정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실험에 꼭 필요한 장비다.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인류의 문명은 농경으로부터 시작됐다고들 한다. 그러나 21세기인 지금까지도 여전히 인류가 수렵생활을 영위하는 ... ...
- 중성미자 변신은 무죄IBS l2015.11.16
- 않을 것으로 예측돼 ‘비활성 중성미자’라고도 한다. 미지의 중성미자를 찾기 위해 IBS 지하실험 연구단은 영광 한빛 원자력발전소에서 ‘단거리 원자로 중성미자 실험(NEOS)’을 진행 중이다. 이는 원자로에서 27m 떨어진 곳에 검출기를 설치하고 전자 반중성미자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앞으로 어떤 ... ...
- 국산 수중건설로봇 ‘복합 실증센터’ 착공으로 연구개발 가속화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9월 2일 포항에서 열렸다. 그림 3. 수중건설로봇 복합 실증센터 조감도. 9,910㎡의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지어진다. 2019년까지 수중건설로봇 3종 연구개발 수중건설로봇 복합 실증센터에서 목표 수심 500m ~ 2500m 내외의 해양 구조물 건설을 위해 개발 중인 수중건설로봇(장비)의 성능 검증이 ... ...
- “깨끗한 바다를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가장 어려운 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환경산업은 시장이 영세한 편입니다. 정화시장을 차지하는 기업 대부분이 중소기업이지요. 이들에게는 작은 액수라도 기술료나 로열티가 매우 큰 부담입니다. 따라서 환경분야 기술이전을 활성화하려면 중소기업들의 부담을 덜어 주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 ...
- 국제 해양과학기술 연구 및 교육·훈련의 중추적 연구기관으로 성장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워싱턴 야자수 너머로 ㄱ자 모양의 연구본관동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연구본관동은 지하 1층 및 지상 3층으로 34실의 실험실과 28실의 연구실이 있으며 이중 1/3의 공간을 외부 연구 인력에 개방할 수 있다. 이곳에는 해양환경, 현장관측, 바이오 관련 장비를 다수 보유하고 있다. 또한 제주도 출신을 ... ...
- 우리보다 한발 앞선 스위스 그림젤 연구소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04
- 볼 수 없다. 그래서 스위스는 이곳을 후보지로 고려하지 않았다. 스위스에는 지하처분연구시설로 그림젤연구소 외에 몬테리연구소가 있다. 그림젤연구소는 화강암반을 이용하고, 몬테리연구소는 점토암을 이용한다. 스위스는 점토암을 자국 내에서 방사성폐기물 처분에 가장 적합한 지층으로 ... ...
- 세계에서 가장 큰 섬 그린란드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23
- 녹아 빙하 표면에 강과 호수가 만들어진다. 이 물은 얼음을 녹이면서 내부로 파고들고, 지하수처럼 흐르다가 빙하 내부에 고이면서 거대한 호수를 만든다. 그런데 이 호수의 물이 약한 틈이나 주변 얼음을 녹이면서 빠르게 빠져나가면 빙하 아래에 갑자기 빈 공간만 남게 된다. 이 공간이 빙하의 ... ...
- 세계 첫 사용후핵연료 영구 처분시설 ‘온칼로’ 2화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9.25
- 이러한 고비를 넘기고 나서야 계획대로 455m까지 터널을 만들 수 있었다. 그러나 지하 455m까지는 아직 입구에 불과하다. 사용후핵연료를 실제로 보관할 동굴은 여기서부터 다시 촘촘하게 뚫어야 한다. 동굴은 굵은 가지에서 뻗어나온 잔가지처럼 입구부터 10m 간격으로 지름 1.7m, 깊이 8m의 크기로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