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부"(으)로 총 47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인 주도 日연구진 “코로나 바이러스, 이틀 만에 체내 배출량 최대”동아사이언스 l2021.03.24
- 수리 모델링과는 다른 점”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그가 소속된 규슈대 생명과학부 수리생물학실험실은 세계적으로 정량 분석을 통한 수리 모델링 연구를 진행하는 몇 안 되는 그룹 중 하나다. 지난해 김 연구조교수가 이런 기법으로 발표한 논문만 4편이다. 인간의 유전체에서 개인의 유전적 ... ...
- 네이처 "코로나19 집단면역 형성 어려워지고 있다"동아사이언스 l2021.03.20
- 효과가 없으면 도루묵이다. 에스테르 사비노 브라질 상파울루대 의과대학 감염병학부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10월 브라질 북부 아마조네스주 마나우스 지역 사람들 중 76%가 코로나19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하지만 올해 1월 브라질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자가 대폭 ... ...
- 바이러스 조상 추적해보니…코로나19, 2019년 11월 중국 우한서 퍼졌다동아사이언스 l2021.03.19
-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의학부 교수와 마이클 워로비 애리조나대 생태진화생물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은 바이러스의 변이를 역추적하는 방식으로 우한에서 지금의 코로나19가 퍼져나간 시점을 11월 초중순으로 추정해 18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역 신문이 ... ...
- 박희재 서울대 교수 "힘들 때 회사 차려 돈 벌고 일자리 만듭시다"동아사이언스 l2021.03.18
- 제조, 연구개발 등의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박희재 창의공간은 공과대학 학부생, 대학원생뿐 아니라 다른 단과대학, 다른 대학, 아웃소싱 업체 등이 모두 활용할 수 있다. 근시일 내에 홈페이지에서 간단한 신청하는 절차를 만들어 접근성도 높일 예정이다. 박 교수는 "창업은 한두 ... ...
- 그린란드 빙하 1.4km 아래에서 발견된 나뭇잎…“그린란드는 한 때 ‘녹색땅’이었다”동아사이언스 l2021.03.16
- 전체가 다 녹으면 해수면은 6m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폴 비어만 미국 버몬트대 지질학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15일자에 그린란드를 덮고 있는 얼음이 지난 100만 년 동안 최소 한 차례 이상 대부분 녹아내린 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그린란드의 ... ...
- "‘폐기’하세요"…AI가 알려준다 소고기 신선도를동아사이언스 l2021.03.10
- 구성성분을 알아내는 기법이다. 논문의 공동 제1저자인 신성호 융합기술학제학부 석박통합과정 연구원은 “소고기 시료 78개를 16일간 서서히 썩게 만들면서 하루 두 번씩 확산광 반사 분광기법을 이용해 미오글로빈의 함량과 스펙트럼 정보를 측정했다”며 “여기서 얻은 2574개의 데이터를 AI에 ... ...
- [과학게시판] 과기정통부 ‘2021년 한국 과학난제 도전 온라인 콘퍼런스’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1.03.03
- 네이버TV ‘카오스재단’ 채널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와 심채경 한국천문연구원 박사 등이 강연자로 나선다. ■ 글로벌 스타트업 육성기업 퓨처플레이가 글로벌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 만도와 함께 ‘만도 모빌리티 테크업플러스’ 시즌3를 진행한다고 2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에는 생체시계 네트워크가 있다2021.03.02
- Per라고 씀)를 발견한 논문이 실린지 50년 되는 해다. 1971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생물학부의 시모어 벤저 교수와 대학원생 로널드 코놉카는 일주리듬을 잃은 돌연변이 초파리를 만든 뒤 유전자 분석법을 통해 유전자 하나의 변이가 원인임을 밝혀 ‘미국립과학원회보’에 보고했다. 1984년 미국 ... ...
- 결과 먼저 내놓고 투표한 모양새된 KAIST 이사회동아사이언스 l2021.02.18
- 위원장, 엄지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및인지과학전공 부교수, 조성표 경북대 경영학부 교수, 최지선 로앤사이언스 대표이사, 한문희 충남대 명예교수, 한민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이 맡고 있다. 당연직이사는 신성철 현 KAIST 총장과 과학기술원 정책을 담당하는 강상욱 ... ...
- 6600만년 전 공룡 멸종시킨 소행성은 태양계 가장 먼 곳에서 날아왔다동아사이언스 l2021.02.15
- 영향을 받아 지구까지 날아왔다는 분석이 나왔다. 아비 로엡 미국 하버드대 천체물리학부 교수 연구팀은 멕시코에 떨어져 지름 150km, 깊이 약 20km의 ‘칙술루브 충돌구’를 만든 거대 소행성이 과거 이론과 달리 해왕성 바깥 태양계 최외곽에 분포한 소행성대인 ‘오르트 구름’에서 온 것으로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