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해마 꼬리가 사각인 이유 있었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꼬리는 긴 원통형인데 왜 해마의 꼬리는 직육면체 모양일까. 미국 클렘슨대 기계
공학
과 미카엘 포터 교수팀이 그 원인을 밝혀 ‘사이언스’ 7월 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정사각형 판을 겹겹이 이어붙인 직육면체 구조물과 원형 판으로 만든 원통형 구조물의 내구성을 비교했다. 두 ‘꼬리’에 ...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아침부터 저녁까지 입안에서 유자향이 가신 적이 없을 정도였어요.”이런 방법을 식품
공학
에서는 ‘관능평가’라고 한다. 동일한 식품, 동일한 성분이라도 사람마다 미각을 느끼는 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성분을 토대로 맛을 평가하기란 쉽지 않다. 그보다는 잘 훈련된 검사원들이 직접 먹어보고 ... ...
세계1위 로봇 휴보에겐 ‘포도’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있던 로봇 구동 소프트웨어들이 너무 복잡해서 이해하기 어려웠다”며 “컴퓨터
공학
과 출신이 아닌 나 같은 사람도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도록 쉽게 만드느라 포도송이 같은 구성이 됐다”고 말했다.필요할 때만 사용하는 모듈레고블록으로 만든 집을 생각해보자. 여러 블록이 모여 한 가지 기능을 ... ...
INTRO 팔방미인 수학자 브릭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옛말에 ‘구슬이 서 말이어도 꿰어야 보배’라 했다. 교실 가득 여기저기서 브릭이 흘러넘치는데, 나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아무것도 할 줄 모르기 때문이다. 내가 할 줄 아는 브릭 놀이라고는 손바닥만 한 집짓기가 전부다.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브릭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유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다른 곤충과 비교했을 때 매미 날개는 어떤 효율성이 있을까? 미국 버지니아대 기계항공
공학
부의 하이보 동 교수팀은 매미 날갯짓을 수학적으로 분석했다. 우선 매미를 3차원으로 분석했다. 오른쪽 날개가 붙어 있는 곳을 원점으로 머리에서 가슴과 배가 이어지는 일직선에서 머리를 향하는 x축, 양 ... ...
[생활] 공간을 꿰뚫어 보는 눈, 공간지도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부가가치를 지닌 유용한 정보를 발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지영 서울대 건설환경
공학
부 연구조교수는 “공간지도는 실제 세계를 디지털화하는 과정”이라며, “지질현상이나 건설 환경을 예리하게 보는 관찰력과 공간 데이터에서 새로운 정보를 찾아내는 통계적 분석능력이 필요하다”고 ... ...
공유경제 ‘프로포즈 공식’으로 거듭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않았다는 점이다.카셰어링을 운영하는 서울시 관계자는 “사업 초기에 경제성 분석이나
공학
적 설계를 하지 못했다”며 “카셰어링 업체가 주차장 공유를 요청하면 그 지역의 인구 수를 토대로 공유 면적을 결정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그렇다면 유휴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쓰는 방법은 없을까.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딱 고시원 방 하나 크기였다. “열악하죠?” 함께 갔던 민경은 광주과학기술원(GIST) 환경
공학
부 교수가 뒤에서 웃었다. N서울타워에서 이 작은 공간 빌리기도 쉽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도 여기에 수억 원짜리 장비들을 놓은 덕에 중요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었다. 해발고도 300m에 위치한 덕분에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 소리인셈이다.실제로 그런지 확인해 보고자 지난 7월 7일 김성필 UNIST디자인 및 인간
공학
부 교수의 연구실에서 직접 뇌파 실험을 해봤다. 피실험자에게 공포영화 속에서 실제로 귀신이 등장하는 장면과 전조가 되는 장면(주인공이 한 곳을 응시)을 번갈아 보여주며 뇌파를 측정했다. 실험은 100초의 ... ...
'기쁨'과 '슬픔'은 정말 뇌 안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캐릭터들이 모든 의사결정을 내린다. 하지만 실제는 조금 다르다.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
공학
과 교수는 “이성과 감성이라는 쌍두마차가 전전두엽을 이끌고 있다”고 말한다. 우리 뇌엔 자동으로 반응하고 빠르게 판단하며 직관적으로 결정하는 ‘감성 시스템’도 있지만, 인지적으로 반응하고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