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이처럼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품종개량이 이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야생의 들닭 특징이
남아
있어 크기가 작고 연간 산란수도 난용종의 절반 수준이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토종닭을 선호하는 것은 맛이 한결 낫기 때문. 오 교수는 “육용종 닭은 성장이 매우 빨라 살이 푸석푸석하다”며 “반면 ... ...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사람은 자기 시계로 1분마다 지구로 송신해 자신이 잘 여행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지구에
남아
있는 사람은 우주를 여행하는 사람으로부터 오는 신호를 포착해 시간을 기록한다. 두 사람의 시간은 똑같을까?지구에 있는 사람은 고개를 갸우뚱할 것이다. 분명히 우주에 있는 여행자는 1분마다 자신에게 ... ...
부엌에서 부는 IT혁명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발전 과정에서 가장 소외된 곳이 부엌이며 아직까지 위험하고 복잡스런 생활공간으로
남아
있다”면서 “그런 낙후한 주방을 가장 기능적이고 편안한 공간으로 바꾸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히고 있다.실제로 MIT 연구팀과 인식을 함께 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살톤, 필립스 등 여러 ... ...
9000년 전에도 술 빚어 마셨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패트릭 맥거번 교수팀은 후난성의 3개 유적지에서 발견한 토기 파편과 청동술병에
남아
있는 성분을 분석해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미국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 12월 6일자에 발표했다.9000년 전 초기 신석기 부족의 유적에서 발굴한 토기 파편에 흡수돼 있는 성분을 분석한 결과 쌀과 꿀, 과일 ... ...
진화론의 고향 갈라파고스는 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2003년에는 산티아고섬에서 염소를 박멸하는데 사냥개와 헬리콥터를 동원했다. 그래도
남아
있는 염소를 제거하기 위해 수컷에게 수신기를 달아 풀어놓았다. 그 주위로 암컷들이 모여들면 그때 제거하는 것이다.이렇게 해서 6만마리를 박멸했다. 이 방법은 현재 이사벨라섬까지 확장돼‘이사벨라 ... ...
우주의 닭이 머리 숙여 모이 쪼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나선은하에 진짜 충돌한 경우다.충돌의 흔적은 닭 몸통의 맨위쪽에 있는 파란빛 깃털에
남아
있다. 깃털뿐 아니라 머리도 파란빛이다. 작은 은하가 큰 은하에서 파란빛을 내는 부분을 뚫고 지나간 것이다. 파란빛을 내는 천체들은 모두 충돌의 결과로 잉태돼 갓 태어난 별들이다. 닭의 깃과 머리에서 ... ...
풀꽃이 된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황량한 바람만 불고 있을 뿐이었다. 구명우주선 안에는 물과 식량 캡슐이 아직
남아
있는 채로였다. 선장은 지구를 떠나면서 중얼거렸다.“지구인들은 확실히 연구대상감이야.”선장이 지구에 아무도 없다고 단정지은 것은, 그의 눈으로 봤을 때는 정확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는 이 황량한 ... ...
'지하철은 훌륭한 이동 연구실'-임지순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한 가지를 하더라도 집중해서 생각하는 것. 그래서인지 지금까지도 그런 버릇이
남아
있다고 해요.“지하철에 사람이 많고 시끄럽다고 하는데, 사실 집중만 하면 좋은 연구실이 될 수 있어요. 자리에 앉게 되면 책도 읽고 다음날 강의 준비도 하고, 때론 논문을 쓰기도 하지요.”임지순 박사의 강의를 ... ...
원시블랙홀이 폭발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원시블랙홀이 폭발하다!!태초 우주는 빅뱅으로 시작되었는데 빅뱅 직후 블랙홀들이 무수히 태어나게 됩니다. 이 블랙홀은‘원시 블랙홀’또는 대부분 크기가 작기 때문 ... 하나입니다. 크기가 작은 것부터 사라졌기 때문에 큰 원시 블랙홀들은 아직까지 우주에
남아
있을 수도 있답니다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1946년 미군정 시절 미국을 따라 우측통행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철도는 아직 좌측통행이
남아
있다. 철도의 연장선인 지하철 1호선의 통행방향이 나머지와 반대인 것도 그래서다.현재 좌측 통행인 나라를 보면 대부분 섬나라이거나 험준한 산맥으로 국경이 나뉘어 통행이 어려운 나라들이 많다. 굳이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