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d라이브러리
"
장치
"(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세계 들여다보는 차세대 X선현미경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수 없었다. 전기도금이 불투명한 전해질 속에서 일어날 뿐 아니라 미세한 변화를 관찰할
장치
도 없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아무것도 알 수 없는 일종의 ‘블랙박스’로 여겨 왔던 전기도금 과정을 연구단이 밝혀낸 것이다. 큰그림 보러가기실제 세포 현상 연구할 미세 물막 ... ...
생체전자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청력을 회복시키는 인공와우가 있다. 실명환자의 시각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인공시각
장치
에도 생체전자공학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그 외에도 뼈 생성을 자극하는 전기시스템이 내장된 임플란트 시술 등에도 생체전자공학기술이 사용되고 있다.3. 어디에 있어요?생체전자공학을 배우는 학과로는 ... ...
환경오염의 주범, 온실가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화석연료는 연소될 때, 온실기체를 만든다.온실기체의 급격한 증가는 해수면 상승이나 사막화 같은 자연재해를 일으킨다.촉매변환
장치
는 질소산화물을 질소로 변환해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인다. ...
아폴로의 달 착륙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장비로 활용됐다. 우주인의 맥박수와 체온 등을 원거리에서 모니터하는 기술은 환자감시
장치
로 응용돼 우주인이 아닌 지구인의 생명을 지키고 있다. 병실에 누워 있는 환자 곁을 보호자가 지키고 있지 않아도 응급 상황 때 의료진이 달려올 수 있게 된 것도 아폴로 기술의 덕이 컸다.이 밖에도 ... ...
손가락 굵기에 도전하는 LED TV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조명으로 많이 쓰인다. 컴퓨터의 모니터로 더 잘 알려진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표시
장치
)는 액체도 고체도 아닌 액정(liquid crystal)이라는 물질로 이뤄져 있다. 액정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없는 대신 전압에 따라 빛을 통과시키는 정도가 달라진다. LCD TV는 카메라의 셔터처럼 광원에서 나온 빛의 ... ...
제3세대 컴퓨터입력
장치
'펜앤마우스 블루'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높은 장점이 있다. 펜앤마우스 블루는 키보드와 마우스에 이은 제3세대 컴퓨터입력
장치
인 셈이다. 편집자주 ‘펜앤마우스 블루’를 모니터링하고 싶은 독자는 과학동아 홈페이지 (www.dongaScience.com/DS)에서 ‘디지털 노마드’ 배너를 클릭하고 댓글을 달면 된다. 3명을 추첨해 제품을 보내드리고 사용 ... ...
의학과 전자공학의 ‘행복한 만남’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사나이’에는 양쪽 다리와 한쪽 팔, 한쪽 눈에 최첨단 생체공학 기술로 만든 신경보철
장치
를 장착한 주인공이 등장한다. 기계를 장착한 그의 몸은 일반인보다 더 빠르고, 더 강했다. 비록 사고로 장애를 입었지만 기계의 도움을 얻어 더 강하고 완벽한 인간의 모습으로 다시 태어난 셈이다.대중의 ... ...
전자 기술로 널리 이롭게 하리라!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세워가며 집적회로(IC)를 설계하고 조립하던 시간들이 주마등처럼 지나갔다. 우리가 만든
장치
가 실제 환자에게 이롭게 쓰일 수 있다는 것은 정말 큰 감동이었다.서울대 전기공학부 생체전자시스템연구실은 신경 보완 기술에 관계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신경 보완 기술이란 생체 내의 신경 세포에 ... ...
북한 2차 핵실험의 쟁점4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쓰인다. 음파가 손실되지 않고 잘 전달되는 수심 약 1000m에 소나(SONAR, 음파탐지
장치
)를 설치하면 인공지진을 탐지할 수 있다.지진파 전문가들은 “지진파나 저주파, 수중음파를 분석하면 인공지진을 자연지진과 구별할 수 있지만 인공지진이 실제로 핵실험 때 생긴 것인지 다이나마이트와 같은 ... ...
땀 냄새족의 여름 탈출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단기간 차단하는 방법이나 미세현미경이나 X선 영상
장치
를 이용해 땀을 분비하도록 만드는 교감신경을 차단하는 방법도 있다”고 설명했다. 진피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표피와 피하지방 사이에 있는 층으로, 이 부분에 에크린땀샘과 아포크린땀샘이 있다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