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스 에이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변화 폭을 오늘날의 변화 폭과 비교하면 오늘날의 변화는 우려할만한 수준이라는 것이
전문가
들의 지적이다. *클라트레이트 수화물: 고압과 저온의 조건에서 물 분자가 결합할 때 메탄, 이산화탄소, 질소 등 분자량이 작은 기체가 물 분자들 사이에 만들어진 빈 공간에 들어가 있는 결정체. 혹독한 ... ...
色이 돈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이유다.색채 마케팅이 가능한 이유는 오감 중 시각이 갖는 중요성에서 찾을 수 있다.
전문가
들은 대체로 상품을 살 때 시각(87%)을 통해 얻는 정보의 비율이 청각(7%), 촉각(3%), 후각(2%), 미각(1%)을 크게 압도한다고 분석한다.여주대 광고홍보디자인과 손상희 겸임교수는 2002년 펴낸 ‘감성 디자인에서 ... ...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우리나라의 모든 기차들은 한 선로 위에 놓일 수 있고 이동 또한 가능하다. 하지만
전문가
들은 이것이 어디까지나 ‘이동 가능한 수준’이고 열차가 제 속도로 운행하려면 특별한 구조와 기능을 갖춰야 한다고 말한다. 즉 선로 안에는 열차의 발에 꼭 맞추기 위한 각종 과학적 장치들이 숨어 있다는 ... ...
色은 약이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번갈아가며 화면에서 작렬하는 장면을 본 어린이 수백 명이 해를 입었다. 이 현상에 대해
전문가
들은 격렬하게 깜빡이는 색광(色光)이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반응을 내놓았다.먹음직스러운 음식을 만드는 데에도 재료, 양념만큼 색이 중요하다. 백열 전구의 빛은 음식을 맛있어 ... ...
지구 광물 태반은 생명체 작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없다.헤럴드 모로비츠의 질문은 엉뚱해 보이지만 실은 통찰력이 있었다. 우리 같은
전문가
가 지구의 광물들이 오랜 지질학적 시간에 걸쳐 놀라운 방식으로 진화해왔다는 그 명백한 사실을 잊고 있었다는 게 놀랍다. 하지만 지구의 역사를 흘끗 보더라도 진화는 명백히 일어났다. 이 질문이 함축하는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독감(AI) 바이러스처럼 고병원성이었다면 지금쯤 전 세계는 패닉에 빠져있을 것이다.
전문가
들이 걱정하는 부분도 혹시 신종 바이러스와 AI 바이러스가 합쳐져 신종 바이러스의 전파력과 AI의 고병원성을 갖춘 ‘괴물’이 나타날까하는 점이다. 아무튼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건 전파력보다는 고병원성 ...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슈퍼휴먼이나 포스트휴먼 같은 인격체로 간주하며 위험성을 말하지만, 대부분의 로봇
전문가
들은 로봇을 자동차나 강아지처럼 인간에게 편리함이나 즐거움을 주는 대상물이라고 본다. 오 교수는 “손발이 불편한 노약자가 목욕을 해야 할 때 봉사자한테 시중을 받는다 해도 수치심을 느낄 수 ... ...
인천-LA 1시간대에 주파하는 극초음속 비행기 시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초음속으로 흐르는 공기 가운데에서 연소 작용을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전문가
들은 스크램제트 엔진의 연소를 강풍 가운데에서 성냥을 켜는 데에 비유한다. 서울대 정인석 교수는 “초음속 상태에서 엔진으로 들어오는 공기에 직각 방향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방법 등이 논의되고 ... ...
잠자는 명화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오히려 그런 점 때문에 비전이 있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에서 미술품을 복원할 수 있는
전문가
는 거의 없다. 최근 국내에서는 클림트 같은 유명 화가가 그린 작품의 순회 전시회가 늘고 있으며 해외에서 그림을 구매해 소장하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다. 그만큼 국내에서도 미술품 복원가의 손길이 ... ...
약학대학 학제개편에 따른 진로설계 방법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소지하는 전문 직종에 해당하므로 다른 직업에 비해 취직이 쉬운 편이고 약을 제조하는
전문가
로서 국민 건강에 이바지한다는 보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전공과목과 관련 있는 생물과 화학은 필수적으로 공부해야하며 대부분의 전공 서적이 영어로 돼 있는 만큼 유창한 영어실력을 키우도록 합니다.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