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교육 찬반 토론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학생들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쓰이는 것 같아 축소돼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진혁 : 수학은 하나를 모르면 그다음 것들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즉, 배우는 내용이 줄어들면 우리 수학 실력에도 구멍이 생기게 될 거라고요! 수학적 탐구력도 줄어들 거고요. 토의 후 최종 선택 찬성 8 : 반대 1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삼각형으로 둘러싸인 n차원 구 문제 g-추측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지표 공식 f0-f1+f2=2에 대입하면 f1=3f0-6이라는 식이 나오지요. 즉 n개 꼭짓점으로 만들어진 단체 구의 변의 수는 정확히 3n-6개고, 3차원의 단체 구에서 만들 수 있는 f-벡터는 (n, 3n-6, n)밖에 없습니다. 1970년 영국의 수학자 피터 맥뮬렌은 n차원 공간에 있는 단체 구가 가질 수 있는 모든 f-벡터가 어떤 ... ...
- Part 4. 좁은 공간도 문제 없다! 가구 옮기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그 중 잘 알려진 ‘A*’라는 알고리듬을 예로 들면 지도를 좌표 평면의 점과 선으로 이뤄진 격자로 변환해서 최단 경로를 구하는 거예요. 로봇의 동작 알고리듬을 연구하는 김순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로봇이 움직일 수 있는 여러 점들에 대해서 출발지로부터 이동한 거리와 ... ...
- [서술형 완전정복] 수학의 기초 집합 이해하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하나도 갖지 않는 집합은 ‘공집합’, 어떤 집합 S에 대해, S의 원소 중 일부로 이뤄진 집합은 S의 ‘부분집합’이라 합니다. 공집합과 자기 자신 S도 S의 부분집합이지요. 또 같은 조건에서 여러 번 반복할 수 있는 실험이나 관찰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을 ‘사건’이라 하고, 사건이 일어나는 ... ...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떡국 한 입, 타원 한 입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원점을 지나기만 하면 어느 길이나 지름과 같지만, 타원은 단축과 장축으로 이뤄진 도형이라 각도에 따라 지름보다 훨씬 길게 떡국떡을 자를 수 있습니다. 장축이 길수록 면적이 넓어지니까 그릇에 담아두면 훨씬 떡의 양이 많아 보이는 거지요. 타원의 탄생 수학을 정식으로 배우지 않았던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연구한다. 책의 저자인 김정훈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 역시 15년 동안 남극 연구를 진행한 세종기지의 터줏대감이다. 이 책에는 김 책임연구원이 연구한 남극의 다양한 동물 생태가 담겼다. 남극의 대표적인 동물인 펭귄부터, 코끼리를 닮은 남방코끼리물범, 나이마다 생김새가 다른 ... ...
- Part 2. 특징 - 뇌가 크면 인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석기를 발굴했어요. 지층의 연대를 분석하니, 이 석기들은 무려 330만 년 전에 만들어진 것이었어요. 연구팀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이 석기를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했죠. 도구를 만드는 데 꼭 큰 두뇌가 필요하지는 않다는 얘기예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인류학과의 이상희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생각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대화할 수 있다는 거죠. 컴퓨터는 전류가 흐르는지, 흐르지 않는지 빠르게 감지해 이진법으로 판단해요. 가설1을 받아들이는 과학자들은 우리 두뇌 역시 신경회로에 전류가 흐르는지 감지해 생각한다며, 언젠가 컴퓨터가 사람보다 더 깊고 넓게 생각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지요. 한편 가설2를 ... ...
- [이달의 PICK] 귤, 붕어빵, 군고구마...겨울 간식 3대 천왕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밥에 섞어도 된다. 고귀마를 넣어도 되지 않는 음식이 없으니 이 고귀마가 조선팔도에 퍼진다면 굶주리는 백성이 결코 없을 것이다’라고 기록했습니다. 실제로 고구마는 감자와 함께 대표적인 구황작물입니다. 식물이 자라기 힘든 토양에서도 재배할 수 있고 재해에 강하며 단위면적당 수확량도 ... ...
- [이달의 PICK] ‘파리협약’ 본고장 파리의 실험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게 현실적”이라며 “세계 최초로 수소자동차를 개발하는 등 기본 기술력이 갖춰진 만큼, 수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차세대 기술 개발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미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화석연료를 태우면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결국 최근 국내에서 심각한 문제가 ... ...
이전2162172182192202212222232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