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위대한 마법사 오즈 아무도 몰랐던 수학 이야기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지름 9m짜리 공기주머니를 가진 열기구라면, 적어도 보통 성인 남자 몸무게인 68.76(=458.4×0.15)kg 정도는 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오스카는 무사히 열기구를 타고 오즈에 도착했다. 과연 영화 속에서 오스카는 자신의 운명 앞에서 어떤 선택을 했을까? 오스카의 흥미진진한 좌충우돌 오즈 적응기를 ... ...
- 숨은 보물단지를 찾아라! 빅 데이터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사용하고 있어요.또 다른 예를 살펴볼게요. 현재 미국에서는 독감이 유행해 사망자수가 100명을 넘어섰어요(2월 기준). 따라서 독감 예방에 비상이 걸렸죠. 그런데 독감이 유행할 거라는 사실을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보다 먼저 알아 낸 곳이 있어요. 바로 검색 사이트로 유명한 구글이에요.구글은 ... ...
- [체험] 발사 성공! 나로호 설계의 주역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부산 신곡초6)우리나라는 현재 한국형 발사체(KSLV-2) 계획 및 설계도를 완성했으며, 2020년에는 한국형 발사체로 달 탐사를 떠날 계획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자존심이 걸린 한국형 발사체를 꼭 성공했으면 좋겠다.위성정보연구센터는 영화에서만 보던 거대 스크린과 많은 컴퓨터들로 채워져 있었다. ...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이용해 수정 중력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0년에는 그동안의 노력이 모여 미국 UC버클리, 스위스 취리히대, 영국 포츠머스대, 그리고 한국천문연구원이 중심이 돼 최적화된 방법론을 제안했다. 거대구조에 있는 물질의 양과 공간이 휜 정도를 따로 측정하면 ... ...
- 운동하면 뇌도 뛴다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뇌와 정서 모두에 도움을 주도록 운동을 하려면 일주일에 최소 다섯 번 이상, 한번에 30분 동안, 보통 강도의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고 미국질병통제센터는 권고하고 있다. 운동을 매일 하기 힘들다고 좌절할 필요는 없다. UC 어바인 신경과학자 칼 코트먼에 따르면 운동을 하다가 멈춘 ... ...
- 로미오와 줄리엣도 깜짝 놀란 매스 연애조작단수학동아 l2013년 03호
- 5차원 이상에서는 8차원과 24차원에서 입맞춤 수만 알려져 있다. 각각 240과 19만 6560이다. 가장 섹시한 수는?!수학자들에게 가장 섹시한 수를 꼽으라고 하면 단연 섹시 소수를 예로 들 것이다. 섹시 소수는 5와 11처럼 차이가 6씩 나는 소수의 순서쌍을 말한다. 그런데 대체 왜 이런 이름이 붙었을까 ...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아틀라스는 NASA가 500만 달러를 지원한 소행성 충돌 경보시스템이다. 8대의 망원경과 100메가픽셀급 카메라로 구성돼 있다. 2014년 말부터 가동을 시작해 2015년 말 완전 가동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45m급 소행성을 최소 1주일 전에, 137m급 소행성을 최소 3주 전에 발견해 경보를 내린다는 목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소행성을 지름 100m로 압축해 밀도가 아주 높은 물질로 만든 뒤, 우주선 주위로 반지름 200m인 고리를 만든다. 그러면 우주선 주위의 기조력이 상쇄되기 때문에 승무원이 안전하게 머물 수 있다.이해하기 어려운 신기한 세계를 추측해 내고 가능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까지 제시하는 인간의 상상력과 ... ...
- 호랑이 없는 한반도는 담비가 王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약 40마리의 고라니와 노루를 사냥하고, 호랑이는 몸무게가 100kg가 넘는 어른 멧돼지 40마리를 잡아 먹습니다. 물론 담비 수가 표범이나 호랑이보다 훨씬 많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담비가 잡아먹는 고라니나 멧돼지의 수가 표범이나 호랑이가 잡아먹은 것보다도 많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담비가 ... ...
-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양의 온도 체계 관점에서 보든, 음의 온도 체계 관점에서 보든 0이 된다. +1/∞, -1/∞ 모두 0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로 별개인 것 같던 양의 온도 체계와 음의 온도 체계를 하나로 매끄럽게 연결할 수 있다. 그렇다면 가진 에너지가 클수록 안정적이란 이상한 특성은 어떨까. 이것도 온도처럼 ... ...
이전2162172182192202212222232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