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dia
매체
Media
뉴스
"
미디어
"(으)로 총 2,868건 검색되었습니다.
젊은 과학자들은 트위터를 좋아해
과학동아
l
2016.11.13
많이 이용하는지 온라인 설문조사로 알아봤다. 설문은 ‘자신의 연구 주제를 어떤
미디어
를 통해 공개하는가’와 같은 질문 52개로 구성됐다. 그 결과 ‘트위터’를 사용하는 사람이 25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들이 트위터를 선호하는 이유는 동료에게 학계 동향이나 자신의 연구를 빠르게 알릴 수 ... ...
구름을 뚫고 나온 에베레스트 ‘감탄’
2016.11.11
촬영한 에베레스트는 수줍은 듯 얼굴을 빼꼼 내밀었다. 장엄하고 신비하다. 미국의 소셜
미디어
레딧에 최근 소개된 이미지다. 여객기를 타고 가다 촬영한 에베레스트 정상을 담았다. 이 사진에는 구름바다가 넓고 가깝다. 에베레스트도 바로 근접한 거리에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사진이 이런 ... ...
[저격! 인터넷 신조어] 비겁하게 팩트로 승부하다니
2016.11.11
진실에 약간의 거짓을 섞고, 몇가지 전문적 용어로 포장하면 된다. 모바일 기기와 소셜
미디어
의 발달로 더 많은 정보를 더 단편적으로 소비하게 됨에 따라 이런 추세는 더 강해져갔다. SNS는 '선동(S)과 날조(N)로 승부(S)한다'의 줄임말이란 말이 나올 정도이다. 하지만 이런 가운데서도 꾸준히 ... ...
130kg 거대 오징어 ‘화제’
2016.11.10
편이다. 위키백과는 훔볼트 오징어가 최대 50kg까지 자란다고 설명한다. 페이스북 등 소셜
미디어
에서 놀라움을 주는 위 사진 속 오징어는 멀리 모리셔스에서 잡힌 것이다. 모리셔스는 아프리카 대륙 동쪽에 있다. 마다가스카르와 가깝다. 인도양에서 건져 올린 위 오징어의 정확한 종명은 알려지지 ... ...
“유전자조작 모기 방출, 찬성하십니까?”
2016.11.08
지카 바이러스, 뎅기열, 황열병 등을 옮기는 이집트숲모기. - 위키
미디어
제공 미국 대선 날인 8일 플로리다주 케이해븐(Key Haven) 섬에서는 색다른 투표가 동시에 열렸다. 대통령 후보뿐 아니라 모기에게도 표를 행사하는 것이다. 뎅기열, 지카바이러스 등 모기 매개 질병이 세계적으로 기승을 ... ...
시위 참여 독려 글에 좋아요를 눌렀다...야동 광고로 바뀌었다
2016.11.08
유력 언론이나 논문 등에 언급된 적이 있다면 믿을만 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소셜
미디어
에서 보고 사실이라고 믿은 이야기나 주장들 중 사실은 정체불명의 블로그나 게시판에서만 돌고 도는 이야기들이 얼마나 많은지 깜짝 놀라실 겁니다. 이야기와 정보의 공유는 인간의 본성입니다. 감성적이고 ... ...
‘핵폭발 버섯구름’ 나타나 ‘깜짝’
2016.11.08
서부 시베리아의 케메로보 주. 지난 28일 이 특이한 구름이 그 모습을 드러낸 후 소셜
미디어
가 뜨거워졌다. 현지 네티즌들의 반응은 크게 두 가지다. 불길한 구름이라고 말하는 부정적 평이 있다. 반면 신기하고 귀여운 모양의 구름이라고 평하는 네티즌도 적지 않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인텔, 퀄컴 그리고 손정의까지 합류...스카이넷 현실화되나?
2016.11.07
Things)이 구현하고자 하는 궁극의 모습이 바로 이 에이와와 유사한 것. 실제로 많은 해외
미디어
들은 IoT의 미래를 언급하면서 ‘터미네이터’에 등장하는 스카이넷과 함께 에이와를 종종 거론한다. 터미네이터 제네시스에 등장하는 스카이넷의 모습 - 오리온 픽처스 제공 재미있는 점은 에이와와는 ... ...
안타까운 산양의 최후
2016.11.06
저 물체(?)는 도대체 무엇이고 무슨 사연일까. 첫눈에는 감이 잡히지 않는다. 해외 소셜
미디어
에서 화제가 된 사진은 동물의 뼈다귀를 촬영했다. 유서 같은 것을 남겼을 가능성은 없으니 사정은 미루어 짐작하고 상상할 수밖에 없다. 산양으로 추정되는 동물의 뿔이 울타리에 걸리고 말았다. 철망에 ... ...
“정밀도-안정성 월등… 현대 의료 한계 극복”
2016.11.04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제3세대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를 표현한 상상도. - 위키
미디어
제공 ‘유전자 가위’는 유전자(DNA) 중 일부를 잘라내는 기술을 말한다. DNA를 구성하는 염기서열은 수십억 쌍인데, 유전자 가위는 이 중 특정한 염기와 결합해 마치 가위처럼 DNA 일부를 잘라내는 단백질이다. 이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