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원형
대양
원양
서클
화성
일치
스페셜
"
원
"(으)로 총 2,478건 검색되었습니다.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
2015.05.18
감소와 함께 홍역을 앓고 난 뒤 다른 병에 걸려 죽은 아이들의 수도 줄어든 게 주요
원
인이라는 말이다. 이런 현상에 대한 명쾌한 메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최근 들어 이런 효과가 수년 동안 지속된다는 새로운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즉 홍역을 앓는 게 아이들 면역계에 장기적인 ... ...
자료실을 연구자들의 휴식처로 탈바꿈시킨다
IBS
l
2015.05.08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하고 KAIST 도서관에서 근무했던 신정
원
행정
원
은 "자료실이 휴게소 같은 느낌으로 다가갔으면 좋겠다"며 "딱딱하게 책만 읽는 것이 아니라 휴게 공간으로 제공하고 싶다"라 ...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
원
(IBS) 뉴스레터 ... ...
전 세계 나노 분야의 허브 센터 꿈꾼다
IBS
l
2015.05.07
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이영희 단장은 "우리 연구단이 나노 분야에서 전 세계의 허브 센터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2000년대 초 한국이 나노 분야의 선두권에 ...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
원
(IBS) 뉴스레터 ... ...
서머타임, 생체리듬이냐 에너지 절약이냐
KISTI
l
2015.04.14
현재 서머타임 폐지를 논의하는 주가 11곳에 이른다. 반면에 지난 2월 미국 뉴멕시코 주상
원
은 서머타임을 1년 내내 유지하는 내용의 법안을 통과시키기도 했다. 이제는 서머타임의 효과로 에너지 절약만을 주장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우리는 늘 서머타임을 시행했었으니까….’라는 ... ...
월성 1호기, 재운전을 결정하기까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3
상생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가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 * 본 기사는 한국
원
자력문화재단의 아톰스토리(http://atomstory.or.kr)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국내 최고령 ‘생쥐 장수촌’에 가다
2015.02.27
들어갈 수 없다”고 말했다. 생쥐 한 마리당 가격은 월령(月齡)에 따라 다르지만 100만
원
을 훌쩍 넘기도 한다. 워낙 애지중지 키운 덕분에 고령임에도 털이 빠지지 않고 윤기까지 흘러 대부분 ‘동안’이다. AFAS의 목표는 0~24개월령까지 월령마다 암수 60마리씩 키우고, 그 이상 나이든 쥐도 암수 2 ... ...
과학기술인공제회, 2015년도 제1회 연금심의위
원
회 개최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02.27
과학기술인공제회(이사장 김영식)는 2015년 제1회 연금심의위
원
회를 개최(’15.2.26)하여 2014년도 과학기술발전장려금 적립(안)등을 의결하였다. 과학기술발전장려금 ...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2015년도 제1회 연금심의위
원
회(2015.2.26) -과학기술인공제회 ... ...
광우병 소고기, 가짜 건강식품 한 번에 찾아낸다
2015.02.23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사업으로 관련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 오고 있다”며 “식품
원
산지 단속의 정확도를 한층 더 끌어 올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해 4월 국제 식품학 저널 ‘푸드 케미스트리(Food Chemistry)’에도 게재돼 주목을 받았다. ... ...
명품화장품은 좋은
원
료에서 나온다
KOITA
l
2015.02.23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자료를 접하고 싶은 독자께서는 KOITA 홈페이지의 회
원
존에 로그인하셔서 KOITA TIP 메뉴의 Tech-Issue Paper를 클릭하시거나, 다음 링크(http://www.koita.or.kr/mem_knowledge/ktip_list.aspx)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KOITA
l
2015.02.16
수단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로봇윤리 개념을 최초로 세운 이탈리아 국립로봇연구
원
장마르코 베루지오 교수는 이런 시각이 오해라고 말한다. 그는 “로봇윤리는 로봇기술을 반대하는 논리가 아니다”라며 “로봇기술의 긍정적 확산을 위해 우리가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지 논의하자는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