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2,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빨이 말해주는 것
과학동아
l
199202
치아로 교체하지는 못한다.)아무튼 이빨로부터 얻은 정보는 나이든 공룡과 어린 공룡을
구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출생률과 같은 사실들에 관한 정보도 제공한다. 또한 약탈동물의 수와 희생되는 동물의 수를 예측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이 모든 것은 얼추 1억년은 됨직한 딱딱한 이빨로부터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02
분류할 때 서로 다른 대(帶)로 분류되는 전파의 종류들. 전자기파를 이렇게 주파수 별로
구분
하는 이유는 주파수에 따라 전자기파의 전파(propagation) 방법이나, 성질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분류의 편의상 30㎑를 기준으로 해서 10배마다 한 구역씩으로 나눈다.VHF는 초단파(SW, Short Wave)라고도 불리는데 ... ...
의료분쟁 해마다 증가추세
과학동아
l
199202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의료사고와 의료과실따라서 의료사고와 의료과실은 마땅히
구분
돼야 한다."의료사고란 의료행위가 시작된 후 끝날 때까지의 전과정에서 예상외로 일어난 모든 불상사를 일컫는 말이며, 의료사고 중에서 잘못이 법적으로 인정된 것을 의료과실이라고 한다."원로 ... ...
교통사고 원인분석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02
사례를 보면, 과학적 지식의 결여때문에 잘못된 결론에 이른 경우보다 사실과 주장을
구분
하지 못하는데서 일을 그르치는 경우가 더 많다.요컨대 사고해석의 모태는 수집된 자료다. 따라서 사고해석의 신뢰도를 높이려면 무엇보다 현장조사를 철저히 해야 한다 ... ...
(1) 컴퓨터를 가전제품처럼 쓸 수 없을까?
과학동아
l
199201
유무에 따라서 화자/필기자 종속적인 시스템과 화자/필기자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구분
할 수 있다.화자/필기자 종속적인 시스템은 인식알고리즘을 특정 화자나 필기자에 맞추어 훈련시킨 시스템으로 비록 처음에는 인식을 잘못하더라도 시간을 두고 훈련을 시키면 시스템이 특정화자나 ... ...
악어
과학동아
l
199112
crocodile) 앨리게이터(alligator) 가비얼(gavial)로 분류한다. 이를 단순히 외관만으로
구분
하기란 매우 어렵다.가비얼은 인도의 토어(土語) '가비얼'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토병(土甁)이라는 뜻이다. 이 악어의 머리만을 잘라 세워놓으면 가늘고 긴 주둥이가 흡사 목이 긴 자기의 술병같이 보인다고 해서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12
열과 힘을 많이 받는 부분에는 티탄합금을 사용하는 것으로 역할분담을 해왔으나 그
구분
이 모호해지면서 한치의 양보없는 '공중전'을 펄치고 있는 것이다.알루미늄 산업의 거인 미국 알코아사와 티탄산업의 선두주자 미국 타이메트사는 항공기의 경량화를 자신이 책임지겠다고 호언하고 있는데, ... ...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12
연구기획기간으로 잡고있는 이 프로젝트는 특히 제품기술과 기반기술로 개발대상을
구분
해 수년내에 상품으로 만들어져 성과를 거둘 수 있는 품목과 당장 결과물을 보기는 어렵지만 기술자립을 위해 자체개발이 필요불가결한 기술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추진해나가고 있다. 제품기술개발사업으로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12
평평하고 작으면서도 고성능의 재료들이 요구됐다.국내에서는 80년대초까지 신구소재의
구분
이 없었다. 82년 신소재에 관련된 특정연구개발사업이 시작되고 84년 대통령 주재의 기술진흥확대회의에 신소재가 주제로 잡히면서 소재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됐다. 80년대부터 일어서기 시작한 자동차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12
물을 흡수하고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금방 물을 방출하는 스폰지와는 성격이 확연히
구분
된다.고흡수성 신소재는 이미 위생재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아기기저귀, 여성용 생리용품, 수술용 매트 및 붕대 등이 그것이다.최근 주목되는 이용법은 농업 및 원예분야에서다. 물이 귀한 야산이나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