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간
한복판
central
중심
센터
d라이브러리
"
가운데
"(으)로 총 4,864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방이 '실험실'인 분자요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한다. 감미로운 바닐라향은 바닐라 꼬투리를 추출해서 얻는다. 그런데 바닐라 꼬투리의
가운데
를 비워 빨대를 만들었다. 음료가 바닐라 빨대를 지나갈 때 꼬투리에서 향기 성분이 함께 올라간다. 이제 막 추출한 신선한 바닐라향을 맡는 셈이다.1995년 에르베 티스를 만나 분자요리의 세계에 뛰어든 ... ...
PART 1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 D-99 체크리스트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해가 되는 물질이나 뾰족한 장치는 없는지 확인하는 검사를 통과해야 한다.실험장비
가운데
우주저울과 고층대기관측망원경, 그리고 결정성장 실험장비와 우주씨앗을 포함해 9가지는 2월 7일 우주화물선 프로그레스에 실어 ISS에 먼저 올려보낸다. 우리 우주인이 직접 가져가야 하는 실험장비의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있기 때문이다.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과학자들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생명의 버전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2009년은 영국의 과학자 찰스 다윈이 진화론으로 생물종의 다양성과 탄생을 설명한 ‘종의 기원’이 발간된지 150년이 되는 해다. 이제 인간이 만든 새로운 종에 대한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포장마차에 참새와 개똥지빠귀, 딱따구리, 황여새가 새끼줄에 묶인 채 매달려있었다. 이
가운데
꼬리 빠진 염주비둘기 한 마리가 눈에 띄었다.어디서 났는지 주인에게 묻자 경남 기장군이라고 말했다. 당시에는 염주비둘기의 상태가 좋지 않아 관심을 갖지 않았지만 지금 생각하면 표본으로라도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무산소 환경에서만 증식하는 혐기성 미생물이다. 데이스 교수는 “암환자
가운데
방사선요법이나 화학요법의 효과를 보지 못하는 환자가 절반 이상”이라며 “고형암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 내성 없는 생균제 사료최근 동물의 사료에 항생제가 포함돼 ... ...
당신의 마음에 반창고를 붙여드려요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활동하는 사업가 중에 조울증 환자로 드러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아담스가 만난 환자
가운데
가장 특이한 사람은 오른팔을 번쩍 든 채, 누가 고함을 질러도 눈 하나 깜빡하지 않는 비니다. 비니는 옆 사람이 팔을 90。로 꺾어 놓으면 마치 밀랍인형처럼 그 자세를 그대로 유지한다. 모르는 사람이 보면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긴 반지름-짧은 반지름)/긴 반지름'으로 구한다 명왕성의 궤도이심률이 0248로 행성
가운데
가장 크며 지구의 궤도이심률은 0017이다사정하기 전에 분비되는 액체로 질의 산성을 중화시킨다 이 액체가 분비되는 장소와그 역할을 해명한 학자의 이름을 따 쿠퍼선액이라 부른다 여성의 질은 세균 ... ...
PART 2 나로우주센터서 자력으로 우리 위성 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기지가 건설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 탐사선이 달에 간다면 여러 미션
가운데
하나를 담당할 가능성이 높다. 최 박사는 “달 궤도선은 표면을 정밀 촬영하거나 자원을 파악하기 위한 스펙트럼을 관측하고, 달 착륙선은 로봇을 보내 극지역에서 물이나 헬륨3 같은 자원을 탐사할 수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생물학자들이 가장 많이 연구한 생물체인 대장균에는 약 4400개의 유전자가 있는데, 이
가운데
기능을 확실히 아는 유전자는 대략 50%에 불과하다.속을 알 수 없는 ‘블랙박스’를 그대로 남겨둔 채 연구를 하면 유전자의 기능을 잘못 해석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바로 생존에 꼭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느끼면서 역시 통증이 찾아온다. 결국 인간은 우주에서 관찰되는 수억도의 온도범위
가운데
불과 27도, 즉 15~42℃에서만 고통을 느끼지 않는 무척이나 까다로운 존재인 셈이다. 인류는 매운맛에 중독된 포유류사람을 포함한 포유류는 캅사이신의 매운맛을 잘 느낀다. 반면 새들은 고추를 먹고도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