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붙이
쇠
철
강철
금붙이
메탈
금부치
d라이브러리
"
금속
"(으)로 총 2,557건 검색되었습니다.
1. 컴퓨터음악의 역사-전위음악에서 대중화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신서사이저의 음발생 방식이 된다. 당시 그는 금관악기와 같이 배음이 풍부하며 또
금속
타악기나 종과 같이 불규칙한 배음 구조를 지닌 소리를 이중 삼중의 변조를 통해 만들 수 있었다. 초우닝은 이 기법을 1972년도 자신의 작품 '사벨리스'(Sabelithe)와 '트레니스'(Turenas, natures의 철자 자리바꿈)에서 ... ...
갈릴레이를 부끄럽게 한 기체 온도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의학교수 산토리오는 그 온도계로 체온도 측정했다. 게리케라는 독일사람도 큰
금속
구와 U자관을 만들어 인형이 오르내리는 멋진 온도계를 만들었다. 그러나 이 모든 온도계의 가장 큰 단점은 온도의 변화없이 기압만 변해도 온도의 눈금이 변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기압이 변해도 정확한 온도를 ... ...
자동차를 순식간에 쇳덩어리로 녹여버리는 1백만W 전구는 어디에 쓰일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지점에 집중된다. 따라서 큰 부품을 가열할 때는 레이저의 장파장보다도 백색광이 훨씬
금속
에 흡수되기 쉽다.레이저핵융합연구로 성가를 높이고 있는 미국 로렌스리버모어연구소는 고출력레이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공급용으로 이 전구가 이상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이 연구소의 물리학자 ... ...
가장 밝고 푸른 '사랑의 여신' 금성(Venus)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내부 구조는 자기장(磁氣場)에 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즉 부분적으로 액체 상태인
금속
성 핵이 있으면 지구에서와 같이 금성도 자기장을 가지고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어느 우주선도 금성에서 자기장을 탐지하지 못했다. 이 문제는 아직도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금성에는 자기장이 ... ...
초소형
금속
기어 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흔히 '희생층'(sacrificial layer)이라고 불리는 1μ두께의 층이 있다.연구팀이 이 주형에
금속
을 전자도금하자 이 희생층이 녹기 시작해 원래 주형으로부터 만들어진 기어를 분리해낼 수 있었다. 이들은 앞으로 분리에 사용될 다른 화학제품도 개발하기로 했다 ... ...
「태양레인지」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모으는 패널이 부착돼 있다. 음식을 담은 그릇이 놓여지는 바닥은 열을 잘 전도하는
금속
으로 만들어진다.태양레인지는 음식을 끓이고 굽고 튀기는 일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으며, 특히 오염된 물을 저온살균하는데는 매우 적격이다. 총 에너지의 50%가까이를 음식 만드는데 사용하는 중앙아메리카 ... ...
금속
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최근 산업의 발달로 우리도 여러 종류의 화학물질을 생산해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유해
금속
에 오염된 식품으로 인한 식품공해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카드뮴/이타이이타이병에 걸리게 돼카드뮴(Cd)으로 도금한 식기나 용기에 산성의 식품을 넣으면 카드뮴이 용출되므로 위험하다. ... ...
초고속 컴퓨터를 탄생시킬 초전도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높이는 일. 다른 말로 표현하면 고온초전도체를 개발하는 일이다. 전기를 통하는 모든
금속
은 절대온도 0도에 이르러야 전기저항이 없어지지만 고온초전도체는 온도가 높아도 전기저항이 없어진다.고온초전도체를 향한 걸음은 최근 5년간 뜀박질을 계속했다. 자그마치 절대온도 1백30도까지 도약한 ... ...
침묵의 바다를 깨우는 로봇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연안에 침몰한 두 대의 소련 잠수함을 찾은 바 있다. 이들은 음향 외에 지자기(地磁氣)가
금속
체가 있는 곳에서 휘어지는 것을 탐지하는 자력계(magnetometer)도 이용했다. 소련은 이 기계들을 서방세계에 팔 계획이며, 89년에 처음으로 약 5백만달러의 판매가로 일반용 로봇이 제작된 것으로 알려지고 ... ...
일본의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뽑지않고 구리를 입혀 부서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문제는 구리가 지금까지 연구해온
금속
성 산화물과 작용하여 초전도성을 상실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우리의 희망이란 구리가 바나듐 산화물과는 화학작용을 하지 않도록 만들어 초전도체의 실용적 가능성을 그만큼 높이는 것이다.주제를 약간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