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시력
시점
때
조준
안력
보이기
d라이브러리
"
시각
"(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문화의 대변혁 예고하는 미래의 TV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1백개 정도 더해 1천1백25로 결정했다.그리고나서 각계의 의견을 구했다. 그중에서 인간의
시각
과 심리 관계를 연구하던 그룹이 이의를 제기했다. "깨끗한 화면임에는 분명하다. 그러나 그림엽서처럼 아름다울 뿐 박력이 없다". 연구팀은 이의제기를 즉시 받아들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 ...
무등천문대세워「별사랑 꿈」펼치자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따로 모아 본격적인 교육을 시킬 예정. 실제로 국민학생들 중에 우주를 바라보는
시각
이 예사롭지 않고, 천문우주에 대한 지식이 상당 수준에 있는 아이들이 많이 있다고 한다.운주사 칠성석의 과학적 고찰아마추어천문인을 양성하는 일 이외에도 천문학도로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추진하는 일도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굴복시킨 것이다.그러나 승부는 겉보기와는 달리 미국의 판정패라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
이다. 일본 기업들은 93년까지 아모르퍼스를 이용한 어떠한 전자부품도 상품화하지 않는다. 다만 연구만 진행시킬 뿐이다. 불행히도 전자부품산업이 시들어버린 미국은 아모르퍼스 특허권을 갖고 있지만 이를 ... ...
(1) 거세지는 외풍, 뒷걸음질치는 정책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때문에 '다른 부문을 희생하면서까지 과학기술투자를 늘릴 수는 없다'는 고질적인
시각
이 정부전체에서 불식되지 않고 있다. 발등에 떨어진 현안문제에만 급급한 나머지 미래를 위한 투자는 항상 '제2순위'인 것이다.또한 과학기술관련부처내에서도 주도권 다툼이 극심한 상태에 이르렀으며 ... ...
12월21일 월식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이 기간 동안이 연속촬영 시간이 된다. 달은 1시간에 약 14.6°정도씩 이동하므로 촬영가능
시각
은 (표2)와 같다. 한 필름에 연속적인 변화를 전부 촬영해야하므로 다중노출이 되는 셈인데 보통카메라는 다중노출장치가 없거나 있다하더라도 촬영 도중에 카메라를 건드리면 방향이 틀려지기 쉬우므로, ... ...
패키지화 정품유통 경향 두드러져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소규모 중소업체에 의해 이끌려 왔다. 이제 국산 소프트웨어가 살아남아야 한다는 좁은
시각
보다는 넓은 세계시장을 향해야 할 것이다.그리고 이러한 인식의 전환은 사용자들에게만 요구해야 할 것들이 아니다. 이것은 정부나 기업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짊어져야 할 의무이다.그러므로 기술개발, ... ...
5. 이제 관심은 평화적 이용방안에 모아져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마음 한 구석에는 항상 위험하다는 인식이 지워지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부정적인
시각
을 가져왔던 터였다. 핵무기로 사용되지 않는다면 원자력은 인류복지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우선 석유자원의 고갈이 예상되는 현 시점에서 볼 때 별다른 대체에너지가 없기 때문에 유일하게 원자력이 그 ... ...
(3) 산업현장과 의학 연구에도 새지평 열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물체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시각
적으로 판명하는데 사용된다. 홀로그래픽 간섭계는
시각
적으로 운동과 힘의 정도를 놀랄만하게 정확히 판명할 수 있다. 그것은 우리에게 아주 가벼운 왜곡조차도 분석해낼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해 준다.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예를 들어보자. 고무줄에 ... ...
인간의 오감(五感)을 능가하는 첨단 센서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색채 구별은 물론이고, 나아가 인간의 눈으로는 볼 수 없었던 적외선까지도 볼 수 있도록
시각
센서기술이 발전됐다. 이와같은 적외선 센서 기술을 이용하면 가깝게는 인체피부의 발열 부위, 염증 등을 정밀진단할 수가 있고 멀리는 인공위성 위에서 지상의 물체나 형상 그리고 수온변화나 삼림의 ... ...
「서류없는 사무실」 EDI 확산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상거래문화를 바꾸는 일이다. EDI를 단순히 컴퓨터를 이용한 거래방식 정도로 기술적
시각
에서 접근한다면 그저 편리하다는 느낌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한다. 우리 경제환경에 무한한 발전을 갖다줄 수 있는 새로운 거래질서와 시장구조창출의 계기로 EDI를 받아들이려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한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