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미지
형상
그림
화상
심상
사진
회화
d라이브러리
"
영상
"(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했다. 이런 속도라면 앞으로 자유전자레이저를 이용해 원거리 검색 기술, 3차원
영상
기술, 정밀 암진단 기술 등이 개발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베이지안 기계 학습 (Bayesian Mechanical Learning) | 확률 이론의 하나인 베이지안이론을 기계에 적용시켜 기계가 자율적으로 예측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반사적으로 계기판 온도를 확인한다. 바늘은 영하 1℃ 근처를 가리키고 있다. 영하 8~
영상
6℃에서는 거의 착빙이 일어난다. 반디를 믿자. 구름을 타넘기로 했다. 그러려면 1500m까지 올라가야 한다.반디가 올라가기 시작했다. 갑자기 온 몸에 진동이 전해왔다. 기체가 떨리고 있었다. 반디가 착빙된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영상
보드가 고장나고 말았다. 다행히 롭해즈는 정상적으로 동작했지만 모니터 화면에서
영상
이 나오지 않았다. 이번 파병에서 가장 큰 문제에 봉착했다.총선을 앞둔 이라크의 정세는 더욱 혼미한 지경으로 치닫고 있다. 재건목적으로 파견된 자이툰 부대마저도 안전 때문에 외부 활동을 더욱 줄이고 ... ...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갖는 미국의 과학교육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거꾸로 돌아간다. 줄넘기를 하면서 거꾸로 돌아가는 우주비행사를 실제로 촬영한
영상
이 화면에 나타나자 대부분의 교사들은 탄성을 지르며 웃음을 터뜨렸다. NASA는 이밖에도 우주에서 요요나 부메랑을 갖고 놀면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지에 대한 재미있는 워크숍을 진행했다. 과학수업과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를 들을 때 뇌의 어느 영역이 활성화되는지를 기능성 자기공명
영상
(fMRI) 장치로 찍어봤다. 그 결과 영어를 국어처럼 잘 알아듣는 학생은 측두엽 근처가 집중적으로 활성화됐다. 반면 영어를 알아듣기는 하지만 온 신경을 곤두세워야 하는 학생은 넓은 영역이 약하게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없다. 일반 사진처럼 상용화되기까지는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정교한 입체
영상
정보를 기록하는 펄스 레이저 홀로그램은 인체 사진뿐만 아니라 정밀한 측정이 필요한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다. 어떤 물체를 홀로그램으로 찍어 원판필름에 입체 정보를 기록해둔 다음 물체가 변형된 후 다시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정상인의 경우에도 의식적으로 자각하지 못하는 정보들이 행동에 영향을 주거나 뇌
영상
에서 활성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과거에 우연히 접했지만 지금은 의식에서 사라져 그런 경험이 있었는지조차 알지 못하는 대상이나 사건들이 암묵적 기억검사나 뇌 활성화 연구를 통해 ... ...
화성은 불의 행성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있다. 유럽우주국(ESA)의 화성탐사선 ‘마르스익스프레스’가 최근 보낸 고해상도 입체
영상
과 데이터를 분석한 과학자들은 화성에서 빙하의 이동, 기후 변화, 화산 활동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화성에 생명체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연구자들은 ‘네이처’ 3월 17일자에 기고한 ... ...
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엔진에 문제를 일으킨다”고 설명했다. 경유는 영하 17℃까지 끄덕 없다. 반면 코코넛은
영상
17℃ 이상에서만 액체 상태를 유지한다. 태평양 군도처럼 사계절 더운 나라에서만 사용가능하다.그래서 요즘 과학자들은 유채꽃에 주목한다. 유채기름은 영하 8℃까지는 문제없기 때문이다. 이미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제랄딘 도슨 박사팀의 연구결과는 위의 과정을 설명해준다. 연구자들은 기능성자기공명
영상
법(fMRI)을 통해 얼굴을 인식할 때 자폐증인 사람의 뇌 활동을 분석했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 얼굴을 볼 때 방추이랑이라는 부위가 활성화되는데 자폐증 환자는 아래측두엽이 활발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