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천
변고
이변
변전
변형
이상
뉴스
"
변이
"(으)로 총 2,452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겨울만 되면 나는 볼빨간사춘기
2018.02.09
술을 마시는 문화가 생기면서, 알코올의 해로움을 경고하기 위해 몸이 스스로 유전적
변이
를 일으켰다고 생물의학 저널인 ‘BMC 진화생물학’ 1월 20일자에 발표했습니다. 따라서 술을 마셨을 때 얼굴이 붉어지는 성향은 유럽인보다 아시아인에게 더 크게 나타난다고 추정할 수 있는 거죠. 어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대신 벌거숭이두더지쥐의 노화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유전자의
변이
를 명쾌히 규명할 수 있다면 가능할 수도 있지 않을까. 즉 사람의 수정란을 유전자편집으로 벌거숭이두더지쥐화 한다면 극단적으로 노화 속도가 지연되는 신인류가 탄생할지도 모른다. 영화 ‘가타카’의 ... ...
피를 보면 암이 보인다! 암 조기검진 ‘액체생검’ 기술은 진화중
동아사이언스
l
2018.02.02
나갔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암 발병 여부를 확실히 알려줄 수 있는 핵심적인 암
변이
유전자 16개와 암 단백질 8개를 찾아 ‘암 추적 마커’로 결정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렇게 발견한 암 추적 마커에 컴퓨터 알고리즘을 결합해 암을 조기 검진하는 기술을 개발해 냈다. 일명 캔서시크 ... ...
석유 아닌 미생물로 페트병 만들고 분해도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30
구조를 바탕으로 돌연
변이
를 만들어 기존의 페타아제보다 페트 분해 능력이 더 뛰어난
변이
효소를 개발하는데까지 성공했습니다. 이 교수는 “미생물로 기존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플라스틱을 생산하면서 동시에 분해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으므로 (플라스틱 산업은) 친환경 화학 산업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오페론이 켜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그 메커니즘은 달랐다. 즉 RT027은 treR 유전자에
변이
가 일어나 전사억제력이 떨어진 결과이고 RT078은 ptsT 유전자를 획득해 트레할로스를 흡수하는 능력이 향상된 결과다. - ‘네이처’ 제공 트레할로스 대사 과정에서 독소 많이 만들어져 그렇다면 ... ...
최후의 야생본능 ‘회색늑대’는 어떻게 진돗개가 됐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1.24
SNP는 같은 종이나 속에서 단일한 DNA 기본 염기 서열 중 차이를 보이는 유전적 변화 또는
변이
를 말한다. 인간의 경우 33억 개의 염기쌍에서 약 0.01%가 SNP이며, 사람마다 염기 1000개 당 한 개씩 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 연구사는 “(SNP 분석에서)한국 토종개들은 다른 개보다 늑대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술이 약한 건가?’라고 생각하면서도 습관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당신은 Aldh2
변이
형을 하나 갖고 있다’는 보고서를 받으면 아무래도 술맛이 좀 떨어질 테고 주변에서도 술을 적극 권하지는 않을 테니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 ...
아메리카 대륙 처음 밟은 인류는 3만6000년 전 동아시아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1.04
아시아와 유럽, 아메리카 대륙의 현생인류 167명의 유전자와 비교, 시간에 따른 유전자
변이
를 역으로 추적했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북미 대륙에 처음 들어간 현생인류가 누구이며 언제 이주했는지 정밀하게 밝혀 3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 결과, 미국 원주민은 약 3만6000년 전 ... ...
[새해 다짐 3종 세트 ②] 내 부진한 영어능력은 유전자 때문? 방법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3
별 아교 세포는 신경 조직을 지지하는 세포 중 하나다. 연구팀은 아쿠아포린4 유전자의
변이
로 단백질을 많이 만드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비교했다. 그 결과, 단백질을 많이 만드는 사람이 언어 학습과 관련된 뇌 부위 (왼쪽 하후측 측두피질)의 부피가 더 크고 영어 단어 암기 능력도 높은 ... ...
당뇨병 정복에 필요한 건 ‘희귀 유전자’ 총량
동아사이언스
l
2017.12.28
있다. 박태성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당뇨병 발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희귀 유전
변이
의 종합적인 양적 기여도에 대한 측정 결과를 도출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6일자 온라인판으로 등록됐다. 미국국립과학원회보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