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택도
감도
뉴스
"
분리도
"(으)로 총 2,634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인공와우’ 원천기술 개발
2016.06.13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연구진이 동물실험을 통해 차세대 인공와우 기술을 확인하고 있다. - D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고성능 ‘인공와우’를 개발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 인공와우는 청각장애인의 귀 속에 이식하는 인공 달팽이관이다. 최홍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 ...
효율-수명, 두마리 토끼 한번에 잡은 태양전지 나왔다
2016.06.13
부산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태양전지의 효율과 수명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생산비용까지 낮춘 제조기술을 개발했다. 진성호 부산대 화학교육과 교수(사진)팀은 노용영 동국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전극의 층 사이에 고품질의 필름을 집어넣어 태양전지의 수명을 1.5배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 ...
희귀금속인 백금族 금속, 손쉽게 재활용한다
2016.06.13
백금(Pt)족 금속은 높은 온도나 산성 등 금속이 부식할 수 있는 환경에 잘 견디며 촉매 특성이 뛰어나 산업에서 활용도가 높다. -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제공 국내 연구진이 연료전지나 초전도체 등 첨단산업에 많이 쓰이는 희귀금속인 ‘백금(Pt)족 금속’을 손쉽게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 ...
[드론 5종 비교]샤오미 미 드론, DJI 팬텀 등 4K 드론 비교
2016.06.06
이제는 드론이 낯설지가 않습니다. 취미용 드론이 널리 보급되며 드론 레이싱이라는 새로운 스포츠도 등장했고 대학에서는 드론 학과도 생겨났습니다. 재미삼아 드론을 날리는 목적 중 하나는 하늘에서 더 넓은 시야로 촬영하는 새로움을 맛볼 수 있기 때문인데요. 최근 고화질의 4K 영상이 대세가 ... ...
당신의 카카오톡 대화, 누군가 엿보고 있다?
2016.06.03
카카오톡 서비스 소개 페이지 제공 우리의 카카오톡 대화를 누군가 들여다 보고 있는 걸까요? 요즘 카카오톡이 또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카카오톡 대화방에서 공유한 웹사이트 주소 (URL)가 카카오가 운영하는 포털 다음의 검색 결과에 노출되어왔다는 사실이 알려졌기 때문입니다. ... ...
유전공학 인간 만드는 세상 올까… 유전자 ‘쓰기’ 연구 출범
2016.06.03
사이언스 3일자에 실린 기고문 - 사이언스 제공 해외 과학자들이 인간의 유전체(게놈)를 인간에게서 분리하는 것이 아닌 화학적으로 새롭게 합성하는 ‘인간 게놈’을 만드는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을 공식 발표했다. 제프 뵈커 미국 뉴욕 랑곤 의료센터 교수를 주축으로 하는 과학자 25명은 ‘사이 ... ...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l
2016.06.02
흔히 ‘가속기’라고 하면 ‘힉스 입자’를 발견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충돌기(LHC)를 가장 먼저 떠올린다. 하지만 가속기의 종류와 활용처는 매우 다양하다. 특히 최근 한국이 만들고 있는 중이온가속기는 ‘펨토 과학’의 문을 연다는 측면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남윤중 ... ...
늙으면 약해진다더니, 면역력으로 노화 정도 알 수 있네
2016.06.02
Pixabay 제공 팽팽하던 피부가 주름지는 것 외에도 노화의 증거는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외부 바이러스를 이겨내는 면역력이 줄어드는 현상도 대표적인 노화의 증거다. 제니 지앙 미국 텍사스대 교수팀은 우리 몸에서 면역을 담당하는 ‘T세포’의 능력을 토대로 노화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 ...
은으로 만든 비늘? 신종 보아뱀 발견!
2016.05.31
인간이 자연의 모든 것을 다 알고 다스리는 것 같지만, 여전히 미처 파악하지 못하고 실체를 마주하지 못한 생물체는 존재하나 봅니다. 최근 바하마 제도에서 새롭게 발견된 보아뱀이 있어 소개합니다. 이 보아뱀은 은빛 찬란한 색상을 뽐낸다고 하는데요. 발견한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Graham ... ...
몸 속 단백질 정확한 위치 찾아낸다
2016.05.30
UNIST 제공 우리 몸 속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단백질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이를 이용하면 신약 개발 과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현우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자연과학부 교수(사진)팀은 형광물질을 이용해 단백질의 위치를 쉽게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