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7,735건 검색되었습니다.
라푼젤도 모르는 머리카락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5
나온 특정 중금속을 통해 직업도 추측할 수 있으며, 시합 전에 스포츠 선수들이 불법
약
물을 복용했는지도 알 수 있다.질소질소에는 무거운 질소(15N)와 평범한 질소(14N)가 있다. 머리카락에 무거운 질소가 많이 남았다면 최근 고기를 많이먹었다고 할 수 있다.아연머리카락에서 아연이 기준치보다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방사능에서 벗어나는 법
수학동아
l
201105
절반만 남는다는 뜻 이다. 8일이 13번 지나는 104일째에는 요오드131은 하나만 남는다.만
약
세슘137 원자가 1만 개 있다면 8일이 지나는 동안 겨우 5개만 베타붕괴를 일으키고 9995개가 남는다. 반감기가 요오드131보다 훨씬 긴 30.17년(=
약
1만 1012일)이기 때문이다.두 물질을 비교하면 처음에는 요오드131이 .. ...
Part 2. 모든 길은 화학으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1105
자연산을 대체할 수 있는 화학물질을 합성해 인간의 수요를 충족시켰으니 망정이지 만
약
에 자연산만을 고집했다면 자연은 이미 황폐화됐을 것이다. 세계 인구를 먹여 살릴 수 있는 식량의 대량생산에 필요한 비료를 비롯한 많은 화학물질도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됐다.화학과 그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05
사고를 보면(아래 왼쪽 그래프) 초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핵종은 세슘-137이지만
약
320년 뒤에는 아메리슘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그래프에는 없지만 사고 몇 주안에는 반감기가 짧은 요오드-131도 큰 영향을 미친다.또 대기에 떠다니는 세슘 농도는 일반적인 반감기와 상관없이 초기에 급격히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05
밝혔다.박순천 기상연구사는 “큰 지진의 영향을 받는 지역은 응력이 충분히 축적돼
약
간의 응력 변화에도 파괴가 일어날 수 있는 지역에 한한다”며 백두산까지 확대해석하는 것을 경계했다.이정현 연구원은 “분화가 임박했다고 믿을 만한 객관적 근거 자료가 충분하지 않다”며 “백두산이 ... ...
마이클 잭슨 죽인 수면마취제 프로포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05
정해 관리 감독을 강화하는 것은 경제적, 시간적 낭비라는 비판도 있지만 향후 이
약
물의 남용자를 막기 위한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프로포폴 관리시스템은 프로포폴 중독자 발생을 낮출 수 있는 강력한 도구다. 새로운 프로포폴 의존성 환자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정책도 연구해야 한다. ... ...
“우주인은
약
상자도 특별하게”
과학동아
l
201105
우주에서는 지구보다
약
품 ‘유효기간’이 빨리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우주 방사선의 영향 때문이다.미국 휴스턴 존슨우주센터의 ... “우주정거장은 이산화탄소가 많아 아드레날린, 비타민C, 비타민A의 산화가 줄어들어
약
에 따라서는 효과가 오래 지속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 ...
남미의 뿌리, 안데스 산맥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05
만난 어느 칠레 꼬마의 미소가 떠오른다. 10년 내에 꼭 다시 한 번 방문하겠다는
약
속을 하고 헤어졌었다.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지금, 불투명한 미래 때문에 불안해지고 부담감을 느낄 때가 종종 있는데, 그럴 때마다 안데스 산맥에서 만난 사람들의 미소와 여유를 떠올린다. 거친 환경을 이겨내고 ... ...
선글라스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105
반사된 빛의 세기와 거의 같지만 상이 바뀌기 때문에 서로 상쇄된다. 빛의 파장의
약
1/4 정도 두께라면 AR 필름에 입사한 두 반사광은 상쇄 간섭을 일으켜 우리가 보는 눈부심을 최소화시킨다.3D 입체안경 만들어볼까편광 선글라스의 원리를 이용해 입체 영화를 볼 수도 있다. 바로 선글라스의 왼쪽 ... ...
Part 2. 잘 살고 있니? 고기공장에 갇힌 가축
과학동아
l
201105
2009년 전체 축산용 항생제의 사용량은 998t으로 2008년에 비해
약
18%, 2001년에 비해서는
약
37% 감소했다.하지만 문제는 가격이다. 김유용 서울대 동물생명공학부 교수는 “동물복지농장을 하면 고기의 가격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 그 가격에 고기를 먹을 것이냐가 문제”라고 말했다. 백인기 교수도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