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피자를 더 많이 먹는 방법!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그러니까 상대방보다 내가 피자를 더 많이 먹으려면 선을 몇 번 그어 피자를 잘랐는지 센 다음, 원점이 어디에 속하는지 확인해야 하지요.마브리 박사와 다이어만 박사는 원의 중심을 지나도록 선을 긋거나, 짝수 번 자른 경우에는 서로 마주보는 조각끼리 대칭을 이뤄 넓이가 같아진다고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가서도 쓸 수 있는 지속가능한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 정보를 구하고 고민한 다음 질문을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들어봤니? ‘함수쏭’함수쏭은 5년 전에 직접 만들어 매년 함수 단원 수업에 활용하고 있다. ‘EE(Explain Everything)'라는 앱으로 함수쏭 영상을 찍기도 했다. 1학년 때 배운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보인다. 행동연구가 가장 많이 이뤄진 개미나 꿀벌을 보자. 이들은 한 번 갔던 길을 다음에 또 갈 때 최적의 경로로 간다. 즉, 목표물과 자신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데다 목표물 주변의 대표적인 표지(랜드마크)를 기억했다가 행동을 바꿀 줄 안다는 뜻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어떤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구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힌 연구다(Ann Gastroenterol. 2015 Apr-Jun; 28(2): 203-209 등).연구팀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근거를 댔다. 먼저 장내미생물이 아세틸콜린이나 감마아미노낙산(GABA), 트립토판 같은 호르몬을 직접 생성하고, 이것이 뇌에 전달되는 신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프로바이오틱스가 ...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있다. 이 바벨탑의 후손들은 바빌론과 브뤼헐의 그것보다 훨씬 더 정교하고 튼튼하다. 다음 파트에서 눈으로 직접 확인해보시라.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거대도시건축학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PART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그냥 썩히지 않고 그 안에 담긴 수수께끼를 그대로 풀어내어 짤막한 힌트와 함께 다음 사람에게 고스란히 넘겨주신 분.‘나는 이제 자유야. 방학숙제를 다 끝냈으니까.’ 그러나 사실 은경은 그날 밤에도 역시 편하게 잠이 들 수가 없었다. 책더미를 품에 안고 용감하게 체중계에 오른 순간, 그만 ... ...
- [지식] 두 아이가 모두 딸일 확률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현혹되지 않으려면 ‘의미’가 중허지~!“우리 딸 얼굴을 알기 전이든 알고 난 다음이든 다른 아이도 딸일 확률은 똑같을 것 같으면, 질문 ➋를 다르게 풀어야제~.” 종구 씨는 혼란에 빠진 친구에게 힌트를 줬다. “내가 아들만 둘이면 ‘쟤가 내 딸이여’라고 말을 못했겄지?”두 자녀의 성별 ... ...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졸업예정)일단 학비 부담이 많이 줄었다. 파운드 환율이 200~300원 정도 낮아지니까, 당장 다음 학기에 낼 학비가 500만~600만 원 정도 줄었다. 영국이 워낙 물가가 비싸고 생활비도 만만치 않은 나라라 유학생들 사이에서는 의외로 브렉시트를 반기는 분위기도 있다.여준석(금융공학, 2015년 졸업생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r)를 곱하고도 그 값(rb)이 여전히 행위자가 감수하는 손실(c)보다 크다면, 이 유전자는 다음 세대에 복제본을 더 많이 남길 수 있다. 이것이 해밀턴의 규칙이다. 이타적 행동은 상대방이 얻는 이득에 근연도를 곱해서 삭감한 값이 행위자가 입는 손실보다 클 때만 선택된다. 즉, 상대방을 도와줘서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본 뒤에, 과연 둘 중 하나는 솎아 내는 것이 맞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그리고 이 다음부터의 이야기는 어디에도 세세한 사항이 발표된 적이 없는 우리들만 아는 이야기다. 나는 지금 이 날까지도 여기에 대해서 강한 미련을 갖고 있고, 우리가 그때 관찰한 것이 이렇게 묻혀서는 결코 안 되는 ... ...
이전218219220221222223224225226 다음